
박영수 전 특별검사. 중앙포토
대장동 개발사업의 로비 의혹을 수사하는 검찰이 ‘50억 클럽’ 멤버 6명 가운데 박영수 전 특별검사에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다.
17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1부(부장 엄희준)는 지난 15일 박 전 특검의 ‘50억 클럽’ 의혹과 관련해 부국증권 부사장 A씨를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 조사했다. 박 전 특검은 법무법인 강남의 대표변호사로 활동하던 2014년경부터 대장동 민간사업자 컨소시엄에 어떤 금융사를 포함하고 뺄지에 힘을 쓰고, 추후 50억원의 뒷돈을 받기로 약속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박영수, 하나은행 넣고 부국증권 빼는 데 관여했나
정영학 회계사(천화동인 5호 소유주)는 2014년 8월부터 컨소시엄에 금융사를 끌어들이기 위해 그해 10월 박 전 특검의 사무실에서 하나은행·우리은행 관계자와 수차례 회의를 진행한 것으로 검찰은 파악하고 있다. 하나은행은 평소 정 회계사와 친분이 있었고, 우리은행은 남욱 변호사(천화동인 4호 소유주)의 별도 사건 변호인이던 박 전 특검을 통해 접촉하게 됐다고 검찰은 본다. 박 전 특검은 당시 우리금융지주 이사회 의장으로 재직 중이었다.
특히 검찰은 박 전 특검이 컨소시엄에서 부국증권을 배제하는 데 영향력을 행사했는지 들여다보고 있다. 부국증권은 대장동 사업의 닮은꼴로 평가되는 백현동·위례신도시 개발사업에 참여한 적이 있고, 대장동 사업에도 진입하려고 했다. 하지만 정 회계사 등이 사업 주도권을 뺏길 가능성 등을 우려해 박 전 특검에게 부국증권을 밀어내도록 부탁한 것이란 의혹이 불거졌다.
검찰은 A씨를 불러 부국증권이 컨소시엄에 들어가지 못한 경위를 캐물었다고 한다. A씨는 대체로 의혹에 부합하는 진술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 회계사 등은 박 전 특검 사무실 등에서 논의를 거친 뒤 박 전 특검과 인연이 있는 우리은행을 컨소시엄 대표 금융사로 내세우려고 한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우리은행은 2014년 12월 도시개발사업에 대한 대출을 금지하는 내부 규정 등 때문에 발을 뺐다고 검찰은 파악하고 있다.
결국 정 회계사 등은 하나은행을 대표 금융사로 하는 ‘성남의뜰’ 컨소시엄을 구성해 2015년 3월 민간사업자로 선정됐다. 부국증권은 성남의뜰에 들어가지 못했다.

성남시 분당구 대장동 아파트 단지 전경. 뉴스1
검찰, ‘대통령의 은인’ 박영수 압수수색 할까
박 전 특검은 “불법 행위를 한 적이 없다”는 입장이다. 다만 그는 2015년 7월부터 특검으로 임명되기 전인 2016년 11월까지 화천대유자산관리에서 고문료로 2억5000만원을 받았다. 또 박 전 특검의 딸은 3년가량 화천대유에서 근무하며 11억원을 빌리고, 대장동 아파트를 분양받아 8억원가량의 시세차익을 거뒀다. 또 박 전 특검의 외사촌인 이모씨가 화천대유 시행 아파트 사업에서 분양대행 용역을 독식하고, 화천대유 대주주인 김만배씨와 수상한 돈거래를 했다는 정황도 있다.
검찰은 의혹 전반을 점검한 뒤 뚜렷한 혐의점이 발견될 경우 압수수색 등 강제수사가 불가피하다는 분위기다. 한 법조인은 “대검찰청 중앙수사부장을 지낸 박 전 특검은 ‘윤석열 대통령의 은인’으로 불릴 정도 윤 대통령과 각별한 사이인데 검찰이 강제수사를 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고 말했다.
‘50억 클럽’ 수사팀은 이달 초 대검찰청과 서울중앙지검 형사4부에서 각각 검사 1명씩을 파견받아 수사 인력을 보강했다. 지난 15일엔 부산지검 동부지청과 광주지검에서 검사 1명씩을 추가로 파견받았다. 이로써 수사팀 검사 수는 엄 부장을 포함해 16명으로 늘어났다. 앞으로 수사 경과에 따라 검사를 더 보충받을 수도 있다고 한다. 검찰 관계자는 “그만큼 검찰이 ‘50억 클럽’ 수사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는 의미”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