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1800조 ‘대출 갈아타기’ 시장 열린다…분주한 핀테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2면

핀테크 업계가 대환대출 봄바람에 분주해졌다. 금융 당국이 오는 5월까지 새 대출로 기존 대출을 갚는 대환대출, 일명 ‘대출 갈아타기’를 위한 플랫폼의 인프라(기반시설)를 마련하기로 하면서다. 1800조원에 달하는 국내 가계대출 잔액 전체가 대환대출 플랫폼의 잠재 시장이다.

금융위원회는 지난 9일 ‘온라인·원스톱 대환대출 플랫폼’을 오는 5월까지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먼저 개인신용대출을 갈아탈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고, 올해 안으로 적용 범위를 주택담보대출까지 넓힐 계획이다. 53개 금융사가 대환대출 상품을 공급하고, 23개 사가 서비스 플랫폼을 개발한다. 은행이나 저축은행 등 대출상품을 취급하는 금융사는 전자, 네이버 파이낸셜·카카오페이·토스·핀다 등 핀테크는 후자로 참여할 수 있다.

대환대출 플랫폼 사업은 핀테크에 ‘기회의 땅’으로 통한다. 금융 소비자들 사이에서 기존 대환대출이 복잡하고 번거롭다는 불만이 크기 때문이다. 현재는 여러 대출상품의 금리를 비교하고, 새 대출에 대한 신청·승인까지만 비대면 온라인으로 가능하다. 대출금을 실제 계좌로 받고, 기존 대출을 갚는 절차 등은 각 은행에 직접 방문해 서류를 작성해야 하고 법무사도 고용해야 한다. 그러나 향후 대환대출 플랫폼에선 모든 절차가 비대면으로 이뤄질 수 있다.

핀테크 기업들은 소비자 수요가 많은 대출 시장에 오래 눈독을 들여왔다. 부실 대출이나 대출 연체 등의 위험은 금융사가 부담하고, 핀테크는 소비자와 금융사를 연결해주면서 신규 이용자를 플랫폼으로 끌어들일 수 있어서다. 신규 중개업은 수수료 수익 증가도 기대할 수 있다.

대환대출 플랫폼 시장을 두고 핀테크 기업 간 혈투가 치열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이유다. 업계에선 대출비교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토스·카카오·핀다가 유리한 고지를 점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대출을 받으려면 각 상품의 금리를 비교해야 하고, 이는 기존의 시스템과 이용자를 보유한 회사가 유리하기 때문이다.

플랫폼들은 차별화 전략을 고민 중이다. 금융사들이 여러 플랫폼에 같은 대출상품을 입점할 경우, 대출상품 자체로는 서비스 차별화가 어렵다. 이 때문에, IT 기술력을 활용해 소비자의 대환대출 절차 편의를 높이는 데 주력하는 분위기다. 토스 관계자는 “기존 서비스를 운영하며 얻은 사용자 인터페이스(UI)나 사용자 경험(UX) 노하우를 대환대출 플랫폼에도 적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핀다 관계자는 “정확도가 높은 신용평가모델(CSS)을 적용해 실제 대출금리와 예상되는 대출금리의 오차를 줄이는 등 기존 서비스의 강점을 대환대출 서비스에도 적용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