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한-일 'A·B·C·D 산업' 손잡나…이재용·최태원·정의선·구광모 총출동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왼쪽부터).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왼쪽부터).

윤석열 대통령이 16일 일본 순방에 나선 가운데, 국내 5대 그룹 총수가 방일 행렬에 동참하면서 한·일 재계의 ‘협력 보따리’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16일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등이 개별적으로 도쿄 출국길에 올랐다. 이들은 모두 17일 한국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와 일본 게이단렌(經團連·일본경제단체연합회)이 여는 ‘한·일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BRT)에 참석할 예정이다.

삼성 등 4대 그룹은 2016년 국정농단 사태 이후 전경련을 탈퇴해 현재 회원사가 아니지만, 전경련 측이 별도로 참석을 요청했다. 전경련과 게이단렌은 1982년부터 한·일 재계회의를 매년 열어왔다.

BRT에는 전경련 부회장을 맡고 있는 김윤 삼양홀딩스 회장, 이웅열 코오롱 명예회장, 류진 풍산 회장, 조현준 효성 회장 등 총수들이 참석한다. 김병준 전경련 회장 직무대행과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장, 최진식 중견기업연합회장 등 경제단체장들도 함께 자리한다. 일본 측에선 도쿠라 마사카즈 게이단렌 회장 등 11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이 자리에서 한·일 재계가 어떠한 성과를 이뤄낼지가 관심사다. 한국의 제조업 경쟁력과 일본의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강점을 살려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산업 분야가 상당하기 때문이다. 가장 주목받는 건 차량(Automobile), 배터리(Battery), 반도체(Chip), 디스플레이(Display) 등 이른바 ‘A·B·C·D’ 산업이다. 재계 총수들은 이번 BRT 간담회 외에도 개별적으로 관련 사업을 전개하는 기업이나 거래선 등을 만나 협력 강화를 재확인할 것으로 보인다.

최상목 대통령실 경제수석은 지난 15일 브리핑에서 “배터리 등 대일 수출이 확대되고, K팝 등 한류 확산을 통해 콘텐트 소비재의 일본 진출이 늘 것이다. 반도체·전기차 등 신산업 분야의 전략적 파트너십도 강화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NHK 등 현지 언론은 양국 정부가 관계 개선에 나서는 가운데, 재계에서도 공동 사업 등을 통해 관계 강화를 꾀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고 보도했다.

한 재계 관계자는 “총수들이 직접 나선만큼 상세한 내용보다는 전반적 사업 분야에 대한 협력 공감대 형성이 주를 이룰 것”이라며 “양국 재계가 협력 분야를 재확인하고, 교류 활성화를 논의하는 것도 상당한 의미가 있다. 실무선에서 성과도 조만간 나올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때마침 일본 정부는 이날 반도체·디스플레이 소재 3개 품목(불화수소, 불화 폴리이미드, 포토레지스트)의 한국에 대한 수출 규제를 해제했다. 일본은 2018년 10월 한국 대법원이 ‘강제징용 피해자에게 일본 피고 기업이 배상하라’는 확정 판결을 내리자, 이듬해 3개 품목에 대한 수출 규제를 시행한 바 있다.

한국무역협회는 수출 규제 해제에 대해 “그동안 경색됐던 한일 경제‧무역 관계 정상화에 획기적 계기가 될 것”이라며 “양국 교역이 상호 경제 규모에 걸맞게 회복되면 반도체 등 첨단산업에서의 상호 투자와 기술 협력이 확대될 것으로 본다”고 평가했다.

두 단체, 10억원씩 출연…양국에 ‘미래 기금’ 조성

김병준 전경련 회장직무대행(왼쪽)과 도쿠라 마사카즈 일본 게이단렌(經團連·일본경제단체연합회) 회장이 16일 도쿄 지요다구 게이단렌회관에서 '한일·일한 미래 파트너십 기금' 설립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 전경련

김병준 전경련 회장직무대행(왼쪽)과 도쿠라 마사카즈 일본 게이단렌(經團連·일본경제단체연합회) 회장이 16일 도쿄 지요다구 게이단렌회관에서 '한일·일한 미래 파트너십 기금' 설립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 전경련

한편 전경련과 게이단렌은 이날 ‘한일·일한 미래 파트너십 선언’ 공동기자회견을 열고, 양국에 각각 미래 파트너십 기금을 창설한다고 발표했다. 두 단체는 선언문을 통해 “전경련과 게이단렌은 한·일 재계회의 개최 등을 통해 양국간 경제 교류 강화를 위한 방안에 대해 검토를 거듭해왔다”며 “이번 기회에 미래지향적 한·일 관계 구축을 위한 길을 확고히 하기 위해, 공동 사업을 실시하기로 했다”고 기금 창설 이유를 밝혔다. 그러면서 이 기금으로 양국의 미래상과 협력방안을 연구하고, 공통 과제 해결을 위한 사업과 젊은 인재 교류 촉진 등의 사업을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기업의 기금 조성 참여 여부에 대해 김병준 전경련 회장직무대행은 “개별 기업이 출연하는 것이 아니라 전경련과 게이단렌이 출연해서 시작하고, 기업 참여 여부는 각각 의사에 달렸다”고 말했다. 기금 규모에 대해 도쿠라 회장은 “일본 엔화로 1억 엔 한국 측 10억원으로, 총 2억 엔으로 시작하는 것”이라고 말했고, 김 대행은 “(2억 엔은) 기금 (전체) 규모가 아니라, 전경련과 게이단렌이 출연해서 재단을 만들기 위한 돈”이라고 부연했다. 두 단체가 시드머니를 대고 재단에 기업 참여를 끌어내는 ‘마중물’ 역할을 하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이번 기금 조성이 한국 정부가 발표한 강제징용 해법의 실행을 뒷받침하는 성격이 강한 만큼, 배상 소송의 피고 기업인 미쓰비시중공업·일본제철의 기금 참여 여부 등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에 대해 도쿠라 회장은 “특별히 미쓰비시중공업·일본제철을 의식을 하고 있지 않다”며 “기금 사업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