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분양가 3.3㎡당 3000만원 돌파…1년만에 24%↑

중앙일보

입력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시내 아파트와 재건축 현장 모습. 연합뉴스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시내 아파트와 재건축 현장 모습. 연합뉴스

지난해 서울 아파트 평균 분양가가 3.3㎡당 3000만원을 넘어섰다. 분양가상한제 완화와 기본형 건축비 인상 등으로 앞으로 분양가 상승세는 이어질 전망이다.

14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2022년 서울 아파트 평균 분양가는 3.3㎡당 3474만원으로 2021년(2798만원) 대비 24.2%(676만원) 올랐다. 상승률은 2012년(25.4%), 2018년(29.8%)에 이어 역대 세 번째로 크다. 2021년(5.7%), 2020년(1.3%), 2019년(-6.8%) 등 최근 수년간에 비해서도 상승 폭이 컸다.

분양가 상승은 큰 폭의 공시지가 상승률이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분양가는 택지비와 기본형 건축비에 가산비가 더해져 결정된다. 택지비 책정 기준이 되는 공시지가 상승률이 지난해 서울이 전국에서 가장 높았던 만큼 분양가도 크게 올랐다. 지난해 서울 표준지 공시지가 상승률은 11.21%로 13년 연속 상승했다.

업계에선 분양가를 낮추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한다. 올해 1월 강남3구(강남·서초·송파)와 용산구를 제외한 서울 전 지역이 분양가상한제에서 해제됐고, 고금리와 원자잿값 인상 등의 요인까지 더해졌기 때문이다.

원자잿값 인상에 따라 공동주택 분양가격 산정에 활용되는 기본형 건축비도 상승하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기존 1년에 2번 산정하던 기본형 건축비(16~25층 이하·전용면적 60㎡ 초과~85㎡ 이하 기준)를 지난해 세 차례에 걸쳐 올렸고, 올 2월에도 지난해 9월 대비 2.05% 추가 인상했다.

부동산인포 권일 리서치팀장은 “이미 건설자재비가 높이진 데다 분양가 상한제 완화, 기본형 건축비 인상 등으로 분양가 인상기조는 당분간 지속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Innovation La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