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지난해 여름 지나자 소비 5%↓…안 입고 안 먹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독립해 혼자 사는 직장인 최모(31)씨는 올겨울 옷을 한 벌도 사지 않았다. 술자리는 줄였고, 집에서 밥을 먹을 때도 반찬은 최소화했다. 그런데도 통장에 남는 돈은 1년 전과 비교해 늘지 않았다. 최씨는“살고 있는 오피스텔의 전세 대출 이자가 1년 새 월 40만원대에서 70만원 수준으로 올랐다”며 “덜 먹고 덜 입고 해도 줄이는 데 한계”라고 말했다.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와 해제로 살아나 한국경제를 지탱하던 내수까지 위기에 처했다. 특히 지난해 여름이 지나면서부터 소비가 5%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을부터 소매판매 뚝 떨어져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13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분석 결과 계절조정 소매판매액 지수는 지난 1월 기준 103.9로 지난해 8월(109.4)보다 5% 감소했다. 소매판매액 지수는 개인‧소비재 상품을 판매하는 2700개 기업의 판매액을 기준으로 집계한 것으로, 여기에 계절적 요인과 물가 영향을 뺀 게 계절조정 지수다. 지난해 여름이 지나고 찬바람이 불 때부터 국내 소비는 급감했다.

이 기간 음‧식료품 소매판매액 지수의 떨어지는 폭이 컸다. 1월 음‧식료품 지수는 97.2였는데 지난해 8월(107.5)보다 9.6% 감소했다. 소매판매액 지수는 2020년을 기준 시점으로 100에서 시작한다. 코로나19 확산 때보다도 올해 1월에 식료품을 더 안 샀다는 뜻이다.

고물가에 집밥, 외식 다 줄였다

음식‧숙박업의 서비스업 생산지수도 지난 1월엔 지난해 8월보다 4% 가까이 하락했다. 음식료품 소매판매는 이른바 ‘집밥’을, 서비스업 지수는 ‘외식’과 연동되는 지수다. 이 때문에 집 안과 밖을 가리지 않고 먹는 비용 자체를 줄였다는 해석이 나온다.

12일 서울 종로구 먹자골목의 모습. 뉴스1

12일 서울 종로구 먹자골목의 모습. 뉴스1

식료품과 외식서비스 물가가 모두 급격히 오른 영향이다. 실제 지난달 품목별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보면 외식 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7.5% 올랐다. 지난해 5월부터 지난달까지 외식물가 상승률은 전년 대비 7~9%대를 계속해서 기록하고 있다. 지난달 가공식품 물가도 1년 전보다 10.4%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옷·화장품·휴대전화 다 안 산다

고물가의 영향은 먹는 것을 줄이는 데에만 그치지 않았다. 의복의 경우 올해 1월은 지난해 8월보다 소매판매액지수가 7.6% 떨어졌다. 겨울철이 왔음에도 새 옷을 안 사고 버텼다는 뜻이다. 이어진 금리인상으로 이자 부담이 늘어나 소비 여력이 줄어들면서 이른바 ‘의식주’로 불리는 필수재 소비마저 줄여갔다는 풀이가 나온다.

필수재에 해당하지 않는 제품의 감소 폭은 더 컸다. 화장품의 경우 같은 기간 소매판매액지수가 11% 감소했다. 통신기기 및 컴퓨터 소매판매는 14.5% 줄었다.

국내 소비가 부진한 상황이 계속되자 정부는 내수 활성화를 목표로 숙박·농축산물 소비쿠폰 발행이나 대규모 세일행사 기획 등을 검토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