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집에 못가 울고 가오"…600년 전 남편이 쓴 '한글 편지'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문화재청은 지금까지 발견된 한글 편지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평가되는 조선시대 군관으로 활동한 나신걸(1461~1524)이 아내에게 한글로 써서 보낸 편지 2장인 '나신걸 한글편지'를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했다. 연합뉴스

문화재청은 지금까지 발견된 한글 편지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평가되는 조선시대 군관으로 활동한 나신걸(1461~1524)이 아내에게 한글로 써서 보낸 편지 2장인 '나신걸 한글편지'를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했다. 연합뉴스

분(粉·화장품)과 바늘 여섯 쌈을 보내오. (내가) 집에 다녀가지 못하여 이런 민망한 일이 어디 있을까 하며 울고 가오. 어머님과 아기 잘 보살피며 있으시오. 올해에는 나오고자 하오.
-나신걸의 편지 중 일부 내용

부인을 위한 애틋한 마음이 담긴 남편의 편지가 보물로 지정됐다. 이는 현재까지 발견된 한글 편지 중 가장 오래된 자료다.

문화재청은 조선시대 군관으로 활동한 나신걸(1461∼1524)이 아내에게 한글로 써서 보낸 편지 2장인 '나신걸 한글편지' 등 3건을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했다고 9일 밝혔다.

나신걸의 편지는 2011년 대전 유성구에 있던 아내 신창 맹씨의 무덤에서 나왔다.

당시 무덤에서는 저고리, 바지 등 유물 약 40점이 나왔는데, 편지는 피장자(被葬者·무덤에 묻혀 있는 사람)의 머리맡에서 여러 번 접힌 상태로 발견됐다.

편지에는 농사일을 잘 챙기고 소소한 가정사를 살펴봐 달라는 당부와 조선 시대 무관이 입던 공식 의복인 '철릭' 등 필요한 물품을 보내달라는 부탁 등이 빼곡히 적혀 있다.

내용 중 1470∼1498년에 쓰였던 함경도의 옛 지명인 '영안도(永安道)'라는 말이 나와 15세기 후반에 작성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나신걸이 함경도에서 군관 생활을 한 시기 역시 1490년대로 비슷하다.

특히 이 편지는 1446년 훈민정음이 반포된 이후 언어 생활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여겨진다.

훈민정음이 반포된 지 50년도 안 된 시점에서 변방에서도 한글이 널리 쓰였음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조선 초기 남성도 한글을 익숙하게 사용했다는 점을 보여준다.

문화재청은 "현재까지 발견된 한글 편지 중 가장 오래된 자료이자 상대방에 대한 호칭, 높임말 사용 등 15세기 언어생활을 알려주는 귀중한 자료"라고 의의를 설명했다.

이 기사 어때요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