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비명 김종민 "이재명 없다고 민주당 무너지나, 그렇지 않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난달 2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 법안심사제1소위원회에서 김종민 소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뉴스1

지난달 2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 법안심사제1소위원회에서 김종민 소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뉴스1

더불어민주당 비명(비이재명)계가 이재명 대표를 향해 ‘방탄 정당’ 이미지 해소 방안을 마련하라며 연일 압박 강도를 높이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내 김종민 의원이 “이재명 대표가 없다고 민주당이 무너진다, 이런 건 사실이 아니다”고 밝혔다.

민주당 비명계인 김 의원은 9일 KBS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 인터뷰에서 “계속 이렇게 간다면 국민들이 민주당 전체가 한 개인을 위해 방탄에 동원됐다 이해할 텐데 그건 당을 위해 안 된다, 그런 논쟁이 있는 것”이라고 했다.

아울러 “몰랐던 문제가 아니다”라며 “당 대표할 땐 민주당이 방탄정당이 되지 않도록 하겠다는 약속과 전제를 위해 당 대표가 된 것”이라고 말했다.

또 “지금까지 과정을 보면 당 대표로서 나름대로 민생 행보도 하고 여러 역할을 하긴 했지만 이 방탄정당이라는 데 묻혀 아무 소리도 안 들리는 상황에 왔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러면 돌아봐 이건 다른 방식으로 한 번 해봐야 하겠다. 또는 방탄정당을 넘어설 수 있는 방법을 한 번 고민해 봐야겠다. 이런 선택이 필요한 게 아닌가”라고 했다.

김 의원은 ‘제3의 길을 이 대표가 고민해야 하느냐’는 질문엔 “이 대표가 고민해야 한다. 그게 기본적인 리더십의 역할이고 책임”이라고 말했다.

또 “이 대표에게 아직 시간이 있다. 그런데 시간이 얼마 안 남았다”며 당 지지자들과 달리 일반 국민 사이에서 이른바 '방탄' 관련 시각차가 있단 취지 언급을 했다.

이와 함께 “당이란 방패를 내려놓고 국민들에게 윤석열 정부가 정말 탄압, 무리하는구나 이런 여론이 일어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올 상반기 안에 어느 정도 정리가 안 되면 민주당은 이재명 방탄정당, 사당, 개인 중심이란 인식. 특히 중도층 인식이 심어지면 총선까지 회복하기 쉽지 않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김 의원은 ‘당 대표 대안’에 관해선 과거 인지도 또는 지지율이 낮은 비상대책위원장, 당 대표 체제에서도 성공적으로 총선을 치렀다는 방향의 목소릴 냈다.

이어 “당이 하나로 통합되고 모여 나가고 혁신해 나갈 수 있는 에너지가 있느냐가 문제지, 어떤 개인 한 사람한테 의존해 당을 끌고 간다거나 선거에 임한단 건 시대착오적”이라고 했다.

이외 김 의원은 “이쪽 당이나 저쪽 당이나 여러 갈등이 있지만 본질적 숙제는 정치 구조를 바꾸는 것”이라며 “선거제 개혁과 제왕적 대통령제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도 했다.

아울러 “근본적으론 국회가 바뀌어야 한다'며 "다양한 목소리가 나오되 결론은 하나로 낼 수 있는 힘, 그게 의회이고 민주공화국”이라고 주장했다.

더불어민주당 윤건영 의원.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윤건영 의원. 연합뉴스

친문(친문재인)계 윤건영 의원도 MBC 라디오에 출연해 “이재명 대표에게는 진정한 지도자의 길을 걸으셔야 한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다”면서 “그 길이 어디인가는 본인이 가장 잘 알 것”이라고 밝혔다.

친문 인사로 분류되는 최재성 전 의원은 YTN 라디오에 나와 “이재명 대표가 당선된 이후로 리더십을 보여주지 못했다”며 “친명계로만 움츠려서 축소형 인사를 했었던 (것에서 벗어나) 통합·확장적 인사를 해서 돌파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와 관련해 이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당직 개편 이야기가 계속 나오는데 전략기획위원장이나 대변인 등 일부 당직의 교체를 고려하고 있느냐’는 질문에 웃으며 “하라는 얘기냐”고 반문하며 즉답을 피했다.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Innovation La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