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팩플] “지금은 규제보다 지원”…챗GPT 대항마, 국내서 나오려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8일 오후 경기도 성남시 카카오에서 열린 '제3차 인공지능 최고위 전략대화'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8일 오후 경기도 성남시 카카오에서 열린 '제3차 인공지능 최고위 전략대화'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챗GPT에 대적할만한 국산 인공지능(AI) 챗봇을 키우려면 무엇이 가장 시급할까. 한국의 초거대AI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대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의 기술 협업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정부가 보유한 양질의 데이터를 기업에 개방해 국내 AI 기업의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무슨 일이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8일 이종호 장관 주재로 제3차 AI 최고위 전략대화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달 중 발표할 ‘챗GPT 대응을 위한 초거대AI 정책방향’과 관련해 민·관 최고위 관계자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자리다.

이날 행사에는 고학수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개보위) 위원장, 고진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위원장, 나주범 교육부 차관보, 임인택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 실장 등 관계부처 인사들이 자리했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 네이버클라우드, LG AI연구원, SK텔레콤, 뤼튼테크놀로지스, 스켈터랩스, 클레온 등 업계 관계자와 학계 인사도 참석해 초거대AI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의견을 개진했다.

이게 왜 중요해

8일 오후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카카오판교아지트에서 '제3차 인공지능 최고위 전략대화'가 열렸다. [사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8일 오후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카카오판교아지트에서 '제3차 인공지능 최고위 전략대화'가 열렸다. [사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챗GPT의 등장 이후 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 등 빅테크들은 초거대AI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AI 전문 스타트업과 손잡고 기술 경쟁에 박차를 가하는 상황. 하지만 국내 AI 시장은 대·중소기업과 스타트업 간 연계가 미흡해 성장에 제약이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민·관 협력뿐 아니라 기업 간 협업을 통해 AI 생태계를 활성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기업이 원하는 건

지난달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네이버 개발자 콘퍼런스 데뷰 2023에서 키노트 스피치를 하고 있는 성낙호 네이버클라우드 하이퍼스케일AI 기술 총괄. [사진 네이버]

지난달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네이버 개발자 콘퍼런스 데뷰 2023에서 키노트 스피치를 하고 있는 성낙호 네이버클라우드 하이퍼스케일AI 기술 총괄. [사진 네이버]

① 규제보다 지원: 기업들은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바란다. 이날 백상엽 카카오엔터프라이즈 대표는 “국내 기업이 AI 개발에서 기회를 놓친다면 엄청난 속도로 격차를 벌리고 있는 글로벌 기업에 잠식될 가능성이 있다”며 “AI는 반도체, 디스플레이처럼 눈에 보이는 제품은 아니지만 한국의 미래를 좌우할 수 있는 만큼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AI 스타트업 스켈터랩스의 조원규 대표는 “새로운 시도에 대해 정부가 너무 걱정하다보니 규제가 앞서는 경향이 있다”며 “규제는 추후에 만들더라도 일단 기업이 해외 시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도와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② 협업 통한 생태계 구축: 대기업과의 협업을 원하는 스타트업들의 요구도 이어졌다. 이세영 뤼튼테크놀로지스 대표는 “국내 AI 스타트업은 해외 기업의 오픈소스에 의존해 성장해왔다”며 “인프라나 범용AI 모델을 주로 연구하는 대기업이 응용 서비스에 특화된 스타트업과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오픈소스를 활성화해 운동장을 넓혀 달라”고 제언했다.

③ 데이터 수급 확대: 국산 AI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해 정부가 가진 양질의 데이터를 개방해달라는 요청도 나왔다. 양승현 SK텔레콤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정부에서 마련한 ‘AI 허브’에는 초거대언어모델(LLM)을 학습할 수 있는 데이터가 없어 애로사항이 있다. 챗GPT는 다량의 영어 데이터를 학습해 똑똑해졌지만 한국어 데이터는 양과 질 모두 충분치 않다”며 “학습 데이터에 데한 저작권 문제 등을 해결한다면 기업의 연구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의 방안은

정부는 기업들의 요구를 적극 수용해 대책을 내놓는다는 계획.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초거대AI 분야는 민관 역량을 총결집해 국가적 대응력을 높여야 한다”며 “각계 제언을 바탕으로 관계부처와 함께 초거대AI 산업 정책 방향을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고학수 개보위 위원장은 “초거대AI 개발을 위해서는 양질의 데이터를 많이 확보하는 것이 핵심인데 그중에서도 활용도가 높은 것은 개인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라며 “오는 14일 공포될 개인정보보호법 개정안을 통해 초거대AI 산업 발전을 위한 안전한 데이터 활용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고진 디플정 위원장도 “초거대AI 기술을 도입해 복지·재난·민원 등 현안 해결에 활용할 계획”이라며 “공공업무의 디지털화, 초연결 디지털트윈 구축 등을 통해 AI와 데이터 산업 성장을 위한 선순환 구조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