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금리동결 섣불렀나…美 또다시 '빅스텝' 우려에, 韓 후폭풍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끝날 줄 알았던 미국발(發) 금리 인상 공포가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금리 인상 속도와 최종 금리 수준을 모두 높일 수 있다고 발언하면서다. 오락가락하는 미국 통화 당국의 행보에 원화가치는 급락하고 주가는 큰 폭으로 내렸다. 기준금리를 동결했던 한국은행의 고민도 커지게 됐다.

美 기준금리 6% 가나…“속도·수준 높일 수 있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 AP=연합뉴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 AP=연합뉴스

7일(현지시간) 미국 상원 은행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한 파월 의장은 “지표상 더 빠른 긴축이 필요하다면 우리는 금리 인상 속도(pace)를 높일 준비가 돼 있다”고 했다. 또 그는 “최종적인 금리는 지난 12월보다 높을 수 있다”고 언급했다.

파월 의장 발언 직후 시장 분위기는 급변했다. 7일(현지시간)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오는 21~22일 예정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가 5~5.25%를 기록할 확률은 74.2%로 예측됐다. 현재 미국 기준금리(4.5~4.75%)에서 해당 금리에 도달하려면 ‘빅스텝(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을 밟아야 한다. 파월 의장이 발언이 있기 하루 전에는 ‘베이비 스텝(기준금리 0.25%포인트 인상)’ 확률이 68.6%로 다수였다.

미국 최종금리에 대한 예측도 바뀌었다. 지난해 12월 FOMC는 회의 직후 공개한 점도표에서 올해 말 금리 수준을 5~5.25%(중간값 5.1%)로 전망했었다. 하지만 7일(현지시간) 페드워치의 전문가 설문에 따르면 오는 6월 FOMC에서 기준금리가 5.5~5.75%까지 올라갈 가능성이 다수 의견(59.3%)으로 바뀌었다. 파월 의장 발언 전에는 거의 예상한 전문가가 없었던 5.75~6% 확률도 17.0%까지 올라왔다.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의 릭 리더 글로벌 채권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연준이 기준금리를 6%로 올린 뒤 장기간 유지할 가능성이 상당히 있다고 본다”고 했다.

예상 밖 지표에 파월 ‘말 바꾸기’

금리 인상과 관련한 파월 의장의 ‘말 바꾸기’는 최근 미국의 경제 지표가 예상보다 강세를 보여서다. 대표적 물가 지표인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와 개인소비지출(PCE) 모두 전년 동월 대비 각각 6.4%, 5.4% 상승하면서 시장의 전망치를 넘어섰다. 미국의 1월 비농업 신규고용도 전월 대비 51만7000명 증가하면서 예상치의 2배가 넘는 호조를 보였다.

이날 파월 의장도 원래 예상보다 물가 상승 압박이 더 크다는 점을 시인했다. 그는 “우리가 불과 한 달 전에 봤던 (물가 상승률) 완화 추세가 1월 고용·소비자 지출·생산·물가 지표에서 부분적으로 뒤집어졌다”면서 “지난 FOMC에서 생각했던 것보다 물가 상승률 압박이 높게 유지되고 있다”고 했다.

한·미 금리차 2%대 갈 수도

그래픽=김현서 kim.hyeonseo12@joongang.co.kr

그래픽=김현서 kim.hyeonseo12@joongang.co.kr

문제는 한국에 몰아칠 후폭풍이다. 한국은행은 지난달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3.5%로 일단 멈췄다. 주요국 가운데서는 가장 빠른 동결이었다. 가계부채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화, 경기침체 우려가 큰 상황에서 일단 기준금리 인상 효과를 지켜보자는 의도였다. 미 Fed가 금리 인상 속도 조절에 나선 것도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파월 의장이 긴축 기조 강화를 다시 시사하면서, 한은의 계획이 꼬이게 됐다. 만약 3월에 Fed가 빅스텝을 단행하면 현재 1.25%포인트인 한·미 금리 차는 역대 최대인 1.75%포인트까지 벌어진다. 이후 기준금리 인상이 추가로 계속 단행되면, 금리 격차는 2%포인트 이상으로 더 벌어질 수 있다. 양국의 기준금리 격차가 벌어지면 원화가치 하락으로 인한 외국인 자금 이탈, 수입물가 상승 등 거시 경제 불안이 커진다.

실제 파월 의장의 강경 발언 이후 8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거래된 달러 대비 원화 가치는 전 거래일보다 22원 떨어진(환율은 상승) 1321.4원에 거래를 마쳤다. 올해 달러 대비 원화 가치는 지난달 27일(1323원) 최저를 기록한 뒤, 최근 진정세를 보이다 전날 파월 의장 발언 직후 다시 급락했다. 코스피도 전 거래일(2463.35)보다 31.44포인트(1.28%) 내린 2431.91에 장을 마쳤다. 지난해 한국 경제를 괴롭혔던 ‘킹달러(달러화 초강세)’ 국면이 재현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익명을 요구한 한 시중은행 외환 담당 임원은 "일찍 기준금리를 동결한 것이 국내외 경제 주체들에게 '한국의 긴축은 끝났다'는 메시지를 준 것 같다"고 했다. 실제 외국인 투자자는 한국의 기준금리 동결 이후 3거래일 연속 순매도로 약 1조원 어치 주식을 팔아치우기도 했다.

중국 리오프닝 효과도 불확실

삼성전자 중국 메모리 반도체 공장. [사진 삼성전자]

삼성전자 중국 메모리 반도체 공장. [사진 삼성전자]

그나마 믿을 구석이었던 중국의 ‘리오프닝(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방역 정책 완화로 인한 경제 활동 재개)’ 효과가 불확실하다는 평가가 나오는 점도 통화 당국의 고민을 키운다. 특히 미·중 갈등으로 인해 반도체 등 주력 수출 상품의 수출이 제약되고 있는 점은 또 다른 변수다. 실제 지난 1월 한국 반도체 산업은 재고율이 26년 만에 최고(265.7%)를 기록할 정도로 불황을 겪고 있어 중국발 특수가 필요한 상황이다.

석병훈 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는 “부동산PF·가계부채 등 국내 경제 문제가 크기 때문에 미국의 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한은이 기준금리 인상에 쉽게 나서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다만 실제로 미국 기준금리가 6%대까지 만약 올라간다면 한은도 버티기 힘들 것”이라고 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