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윤 대통령, 국빈 방미…백악관 4월 초청 발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정부의 강제징용 해법 발표 이후 한·미·일 정상외교가 빨라지고 있다. 백악관은 하루 만인 7일(현지시간)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4월 국빈 방문 초청 일정을 공식 발표했다.

카린 장-피에르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성명을 내고 “윤 대통령의 미국 국빈 방문 일정이 다음달 26일로 예정됐다”며 “일정에 국빈 만찬이 포함된다”고 말했다.

백악관은 “두 정상이 굳건한 한·미 동맹의 중요성을 강조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 바이든 대통령 취임 후 미국을 국빈 방문한 정상은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에 이어 두 번째다. 바이든 대통령의 국빈 방문 초청은 윤 대통령이 강제징용 문제 해결을 통한 한·일 관계 개선에 속도를 낸 게 일본뿐이 아닌 한·미·일 삼각동맹을 추구해온 미국의 화답을 받은 것이란 의미가 있다.

관련기사

김성한 국가안보실장은 앞서 지난 5일부터 미국 워싱턴DC를 찾아 제이크 설리번 미국 국가안보보좌관을 비롯한 바이든 행정부 고위 관계자들과 만나 이번 징용 해법을 설명하고 한·미·일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김 실장은 현지 특파원들과 만나 국빈 방문 의제와 관련, 한국의 반도체·배터리·자동차 산업의 미래가 달린 반도체법(CHIPS Act)·인플레이션감축법(IRA) 후속 시행 조치 등을 논의할 것이라고 한 바 있다.

한·일 정상 간 셔틀외교 복원도 가시권에 들어왔다. 윤 대통령은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총리와 회담하기 위해 이달 중순 일본을 방문하는 방안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교도통신 등 일본 언론은 오는 16~17일로 날짜를 특정해 보도했다.

윤 대통령은 이번 한·일 강제징용 협상 과정에선 참모들에게 ‘청년’을 가장 많이 강조했다고 한다.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는 7일 “윤 대통령이 일본과의 관계를 풀지 않고는 청년, 특히 MZ세대(1980년대 초~2000년대 초 출생)의 미래가 없다는 말을 하며 협상을 독려했다”며 “‘MZ세대에게 기회를 줘야 한다’고 수차례 강조했다”고 말했다. 또 다른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도 “죽창가와 반일만 부르짖으며 청년 세대를 볼모로 잡고 있어선 안 된다는 것이 윤 대통령의 일관된 입장”이라고 했다.

지난 6일 제3자 변제 방식의 강제징용 해법이 발표된 뒤 윤 대통령이 먼저 주문한 것도 청년 대책이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이날 한덕수 국무총리와의 주례회동에서 “한·일 관계가 미래로 나아갈 수 있게 양국 청년에게 기회를 부여하는 사업을 개발하라”는 지시를 내렸다고 한다. 이에 국무총리실에선 한·일 청소년 간 수학여행 및 대학교 교환학생 확대와 장학금 사업 신설 방안을 살펴보고 있다.

윤 대통령 “MZ세대에 기회줘야”…한·일 교류 방안 마련 주문도

대통령실도 수석실별로 일본과의 교류협력 확대 방안을 검토 중이다. 한동안 성과가 없었던 양국 간 과학기술과 우주 관련 협력 및 인재 교류 방안 등도 대상에 올랐다. 강제징용 해법의 일환으로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와 일본경제단체연합회(게이단렌·經團連)가 미래청년기금 조성을 검토하는 것 역시 양국 청년 세대를 위한 윤 대통령의 의중이 반영된 결과라고 한다.

이 같은 ‘청년’ 강조 기류와 관련해 대통령실은 윤 대통령의 국정 철학과 연관된 문제라고 설명한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윤 대통령이 정치에 입문한 이유 자체가 이권 카르텔을 깨서 청년 세대에게 미래를 보여주기 위해서였다”며 “전임 문재인 정부에서 한·일 관계가 방치돼 가장 피해를 본 것 역시 청년 세대라는 것이 윤 대통령의 생각”이라고 말했다.

정치권에선 윤 대통령의 청년 메시지가 과거사에서 한층 자유로운 이른바 ‘예스(yes) 재팬’ 세대를 겨냥한 것이란 해석도 나온다. 젊은 세대를 주축으로 한·일 관계의 긍정적 여론을 형성해 야당에서 제기하는 ‘친일 프레임’을 헤쳐나가려 한다는 분석이다. 전경련이 지난달 MZ세대를 대상으로 진행한 여론조사(2월 16~21일, 20·30세대 남녀 626명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71%가 “한·일 관계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MZ세대 대다수가 “한·일 관계 개선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이유로 경제적 이익 확대(45.4%)가 가장 많이 꼽혔다. 이어 중국 부상 견제(18.2%)와 안보 협력 강화(13.3%) 등이 뒤따랐다.

구정우 성균관대 사회학과 교수는 “일본에 거부감이 없는 MZ세대가 한국 여론 지형의 주축으로 떠오르고 있다”며 “역풍이 불던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 때와 현재의 여론 지형은 상당히 다른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윤 대통령은 7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국무회의 모두발언에서 한·일 강제징용 해법에 대해 “한·일 양국의 공동 이익과 미래 발전에 부합하는 방안을 모색해온 결과”라고 평가했다. 윤 대통령은 국무위원들에게 “미래 세대의 내실 있는 교류협력 방안을 세심하게 준비하고 지원해 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