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1년 새 배 한 척당 417억원 더 번다…K조선, 잘 나가는 이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7일 전남 영암에 있는 현대삼호중공업 조선소. 길이 2.2㎞에 달하는 안벽(quay wall)에는 인도를 앞두고 막바지 작업 중인 선박들이 빼곡하게 들어차 있었다. 야드에는 건조 중인 선박과 조립 결합 중인 블록들로 발 디딜 틈이 없을 정도였다.

7일 전남 영암의 현대삼호중공업의 전경. 건조 중인 선박들로 도크와 안벽이 가득 차 있다.[사진 한국조선해양]

7일 전남 영암의 현대삼호중공업의 전경. 건조 중인 선박들로 도크와 안벽이 가득 차 있다.[사진 한국조선해양]

지난달 전 세계 발주의 74%, K조선이 차지

K조선 업체들의 수주 강세가 계속되고 있다. 7일 영국 조선해운 시황 전문기관인 클락슨리서치가 집계한 지난달 전세계 선박 발주량은 총 58척, 210만CGT(표준화물선 환산톤수)로 국내 업체들은 이 중 74%인 156만CGT(34척)를 차지했다. 중국의 지난달 수주량은 17만CGT(9척·8%)에 그쳤다.

배 가격도 최근 5년래 최고 수준이다. 2019년 2월 130.56이던 클락슨 신조선가지수(New building Price Index)는 지난달 163.69에 이른다. 선종별로는 액화천연가스(LNG)운반선 한 척당 평균 2억5000만 달러(약 3250억원), 초대형 유조선은 1억2000만 달러(약 1560억원), 초대형 컨테이너선은 2억1500만 달러(약 2800억원)였다. 지난해 2월 LNG 운반선의 평균 가격은 2억1800만 달러(2833억원)였다. 같은 배를 만들어도 1년 새 3200만 달러(약 417억원)를 더 버는 장사를 하는 셈이다.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실제로 업계의 수익성이 호전되고 있다. 삼성중공업은 올해 매출 8조원, 영업이익 2000억원을 목표로 제시하는 등 영업흑자 전환을 예상하고 있다. 계획대로라면 삼성중공업은 2015년부터 이어진 ‘8년 연속 적자’의 고리를 끊어내게 된다. 지난해 4분기까지 8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한 대우조선해양 역시 자신만만하다. 고부가가치 선박인 LNG선을 중심으로 3년6개월치 일감을 확보해 둔 상태여서다. 강경태 한국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하반기로 갈수록 고수익 선박이 건조돼 대우조선해양의 영업이익 개선세는 빨라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LNG나 액화석유가스(LPG)·에탄·메탄올 등을 연료로 사용하는 친환경 연료 추진선 시장에서도 우위를 보이고 있다. 산업자원통상부에 따르면 친환경 선박 수주량의 70% 이상을 K조선 3사가 차지하고 있다.

지금 주문해도 2027년 인도  

사실 최근의 선가 강세 현상은 철저한 시장 원리에 의한 것이기도 하다. 우선 세계 1~3위 조선사(HD현대·삼성·대우)의 도크가 각각 2025~2026년까지 가득 차 있다. 현재는 2027년 인도분 계약까지 들어오고 있다. 한국조선해양이 이달 초 북미지역 선사와 계약한 LNG선 세 척이 대표적이다. 이 배들은 현대삼호중공업에서 건조돼 2027년 12월까지 순차적으로 인도될 예정이다. 현대삼호중공업 측은 “그간 2026년 인도 예정인 계약은 다수 있었지만, 2027년 인도분까지 넘어간 건 이번이 처음”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3분기 현대삼호중공업의 평균 가동률은 92.4%였다. 사실상 100% 가동이다. 실제 현장에서는 야간과 휴일에도 작업이 계속되고 있다. 일감이 쌓이다 보니 조선소 인근 대불산업단지 내 유휴 공장 부지에서 블록 조립 등의 작업이 이뤄지는 형편이다.

여기에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반사 이익도 있다. 유럽 국가들이 에너지 공급선 다변화를 추진하면서 LNG선 수요가 꾸준히 늘고 있다. 또 최근 해운 경기가 악화하고 있긴 하지만, 머스크를 비롯한 주요 글로벌 해운사들의 주문도 이어지고 있다.

일손 부족과 요동치는 철강재 가격은 부담

물론 업계에도 걱정은 있다. 일감은 늘어나는 반면, 일손은 부족해서다. 또 미국 시장을 중심으로 요동치고 있는 철강 가격도 부담 요소다. K조선 3사는 최근까지 급등한 후판 가격 탓에 어려움을 겪은 바 있다. 업계에서는 전체 건조비 중 20%가량을 후판이 차지하는 것으로 본다.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