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지방간도 대물림…"부모 발병시 자녀도 위험 2.6배 뛰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부모에게 비알코올성 지방간이 있으면 자녀도 지방간이 있을 가능성이 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부모·자녀 간 지방간 발병 상관관계 규명

삼성서울병원 소화기내과 곽금연·신동현 교수와 경희대병원 소화기내과 박예완 교수 연구팀은 2010~2019년 시행된 질병관리청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12~18세 청소년 자녀를 둔 가정 1737곳(부모 3474명·자녀 2335명)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6일 밝혔다.

연구팀은 부모 중 어느 한쪽이라도 지방간이 있다면 이를 위험 요소로 보고 자녀 지방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들여다봤다. 그 결과 부모에서 자녀로 이어지는 지방간 연결 고리가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에 따르면 지방간이 없는 부모를 둔 자녀 1336명의 지방간 유병률은 3.1%였으나 부모가 지방간이 있는 자녀 999명의 유병률은 10.2%로 뛰었다.

부모 지방간 유무에 따라 자녀의 지방간 유병 위험을 통계적으로 예측한 값도 결과는 마찬가지였다. 부모 모두 지방간이 없는 자녀와 비교했을 때 부모 중 누구라도 지방간이 있으면 자녀의 지방간 발병 위험은 1.75배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부모 둘 다 지방간이 있으면 자녀의 지방간 발병 위험은 2.6배까지 올라갔다.

연구팀은 이런 결과가 자녀 비만도(BMI)나 복부 비만, 중성 지방, 고밀도 지질 단백질(HDL cholesterol), 수축기 혈압, 간 수치(ALT), 공복 혈당 등 지방간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대사 질환 관련 지표를 모두 반영하고 나온 결과라고 설명했다. 부모 지방간 유무가 자녀의 지방간 유병 위험을 키우는 원인으로 지목되는 것이다. 이에 대해 연구팀은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유전적 요소가 중요했을 것”이라고 풀이했다. 부모가 지방간이 있는 가정이나 없는 가정 양쪽 모두 자녀의 일일 총 칼로리나 탄수화물 섭취량, 신체 활동 정도에서 별다른 차이가 없었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환경적 요인보다는 유전적 요인이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를 주관한 곽금연 교수는 “지방간을 진단받은 부모는 본인뿐 아니라 자녀의 간 건강도 함께 챙겨야 한다는 것을 증명했다”고 말했다. 이어 “이미 북미소아소화기학회에서는 부모가 지방간이 있는 비만 아동은 지방간 검사를 권유하는 만큼 국내에서도 청소년의 지방간 조기 발견과 치료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 결과는 소화기 분야 국제 학술지인 ‘영양 약물학 및 치료(Alimentary Pharmacology & Therapeutics)’에 최근호에 실렸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Innovation La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