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완성차-배터리 업체 합종연횡…삼성SDI, GM과 손잡는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3면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시행과 지역별·차종별로 전기차 시장의 차별화가 진행되면서 완성차 업체와 배터리 회사 간 합종연횡도 속도를 내고 있다.

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삼성SDI는 오는 8일(현지시간) 미국 미시간주에서 최윤호 삼성SDI 사장과 메리 바라 제너럴모터스(GM) 최고경영자(CEO) 등이 참석한 가운데 GM과 합작공장 설립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는다. 합작 공장의 연간 생산능력은 30~50기가와트시(GWh) 규모로, 양사는 총 3조~5조원 규모를 투자할 것으로 알려졌다.

그래픽=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그래픽=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삼성SDI가 북미 현지에서 완성차 업체와 합작 공장을 짓는 것은 지난해 4월 스텔란티스와 조인트벤처(JV)를 설립한 데 이어 이번이 두 번째다. 최근 미국 포드가 튀르키예에서 SK온 대신 LG에너지솔루션(LG엔솔)과 손을 잡은 데 이어, 현지 경쟁사인 GM은 LG엔솔 대신 삼성SDI와 합작 공장을 짓기로 한 형국이다.

GM이 기존 파트너였던 LG엔솔이 아닌 삼성SDI와 협력하는 건 최근 얽히고설킨 완성차-배터리 업체 간 동맹 구도를 보여주는 상징적 사례다. GM은 2019년 LG엔솔과 배터리 합작법인 얼티엄셀즈를 설립해 지금까지 합작 공장 3개(총 145GWh 규모)를 가동 또는 건설 중이다. 네 번째 합작 공장도 LG엔솔과 협상을 벌였지만 결국 무산된 것으로 알려졌다.

LG엔솔은 대신 포드와 손을 잡았다. 지난달 ‘유럽 전진기지’ 격인 튀르키예에 포드, 현지 최대 기업 코치와 전기차 배터리 합작법인 설립 MOU를 맺으면서다.

SK온과 포드의 튀르키예 프로젝트는 무산됐지만, 켄터키주와 테네시주에 짓는 미국 공장 2곳은 차질 없이 진행되고 있다. 3일(현지시간) 피트 부티지지 미국 교통부 장관은 켄터키주 공사 현장을 방문해 “완공되면 이곳은 세계에서 가장 큰 배터리 제조시설 중 하나가 된다”고 강조했다. 부티지지 장관은 조 바이든 행정부가 출범한 2021년 역대 최연소인 39세로 교통부 장관에 오른 인물이다. 전기차 도입과 충전시설 확장을 주도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포드는 이와 함께 중국 닝더스다이(CATL)와도 합작 사업을 추진 중이다. 미시간주에 합작 공장을 세워 CATL의 리튬인산철(LFP) 공급망을 구축하고 중저가 라인업을 확대한다는 구상이다. 장정훈 삼성증권 연구원은 이에 대해 “차급별·지역별 배터리 수요가 다양한 방식으로 확대되면서 특정 완성차+배터리 회사의 조합으로는 서로의 수요를 100% 충족시키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밝혔다.

◆내연기관차보다 값싸진 미 전기차=원가 하락과 보조금 지원에 힘입어 미국에서 전기차 가격이 내연기관 차량보다 낮아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올해 전 세계 전기차 판매량이 2000만 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대량생산과 IRA에 따른 세제 혜택으로 전기차 가격(유지비용 포함)이 내연기관 차량보다 낮아졌다고 보도했다.

현지 에너지기관 보고서에 따르면 포드의 머스탱 마하-E를 사 5년 동안 유지할 경우 4만6000달러(약 5984만원)가 들지만, 도요타 RAV4는 4만5000달러가 든다고 소개했다. GM 쉐보레 볼트와 같이 판매 가격이 2만6500달러부터 시작하는 저가형 전기차를 사면 유지비용은 더욱 낮아진다. WSJ은 이어 “테슬라와 폴크스바겐, 포드도 저렴한 LFP 배터리를 사용하기 시작했다”며 “전기차 가격은 앞으로 더 내려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