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궁통1
구약성서에는
이런 구절이 있습니다.
“하느님(하나님)의 얼굴을
본 사람은 죽는다.”
출애굽기 33장 20절에
나오는 대목입니다.
개신교 성경에는
이렇게 표현돼 있습니다.
“네가 내 얼굴을 보지 못하리니
나를 보고 살 자가 없음이니라.”
그렇습니다.
성경에는 하느님의 얼굴을
봤다는 사람이 없습니다.

미켈란젤로가 시스티나 대성당의 천장에 그린 ‘천지창조’ 중 ‘아담의 창조’. 중앙포토
아브라함도 그랬고,
노아도 그랬고,
모세도 그랬고,
구약의 선지자들도 그랬습니다.
하느님의 얼굴을 본
사람은 없습니다.
오히려
그 반대입니다.
행여 하느님의 얼굴을
그림이나 조각상으로
빚어낼까 봐,
극도로 경계하는
분위기였습니다.
이유가 있습니다.
우상숭배 때문입니다.
여기서 손을 들고
반박하는 사람도 있을 겁니다.
미켈란젤로는
교황 율리시스 2세의 부탁을 받고
바티칸 시스티나 대성당의 천장에
하느님의 얼굴을 그렸으니까요.
천지창조에서
아담을 창조하는
하느님의 모습이었습니다.
길고 흰 수염을 휘날리는
인자한 할아버지의
모습입니다.
그렇다면
미켈란젤로는
하느님의 얼굴을 보았을까요.
그 얼굴을 보고서
그림을 그린 걸까요.
물론 아닙니다.
시스티나 성당에 그려진
하느님의 얼굴은
전적으로
미켈란젤로가 생각한
상상 속의 얼굴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부지불식간에
하느님, 하면
그런 이미지를
일정 정도 가지고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기다랗고,
흰 수염을 가진
할아버지의 모습 말입니다.

#궁궁통2
유대교와 그리스도교,
그리고 이슬람교는
하나의 뿌리에서 나온
세 종교입니다.
세 종교의 조상이 모두
아브라함이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세 종교 모두
구약성서를 공유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