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아이 검사 갔더니 "엄마도 ADHD"…성인 환자 급증한 이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30대 여성 A씨는 최근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아들의 정신건강 상담을 위해 병원에 방문했다가 당황스러운 결과와 마주했다. A씨는 아들이 산만하고 집중력이 약해 ‘ADHD(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ㆍ주의력 결핍 과다행동 장애)’를 의심했다고 한다. 이 증상은 주의력 부족과 산만함, 충동성 등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발달 질환이다. 그런데, 병원에서 의사의 설명을 듣던 A씨는 문득 자신의 모습과도 관련성이 있다는 느낌이 들었다. 집안 정리정돈을 잘 못 하고 아이 유치원 가방 챙기는 걸 수시로 까먹는 등 실수가 잦았기 때문이다. 단순히 덤벙대는 성격 탓이 아닐 수도 있다고 생각한 A씨는 몇 가지 검사를 받았다. 그 결과, 모자는 함께 ADHD 진단을 받았다.

40대 남성 B씨는 퇴사가 잦았다. 직장을 1년 이상 다니지 못했다. 소심하고 내성적인 성격 탓에 직장에서 성과를 내지 못하고 퇴사가 반복된다고 생각했다. 그러다 3개월 전, 주변의 권유로 혹시나 하는 마음에 병원에 갔다가 자신이 ADHD를 앓고 있음을 알게 됐다. 즉흥적이고 충동적인 행동이 이어지다 보니 업무 성과가 나올 수 없었고 그 여파로 불안 장애까지 얻었던 것이다. B씨는 약물 치료를 시작했다. 그는 “당장 나를 둘러싼 상황이 변한 것은 아니지만, 병을 알게 됐으니 의기소침함과 우울감에서 벗어날 수 있지 않을까”라는 기대감을 갖게 됐다고 한다.

성인 ADHD 급증…“청소년기에 증상 있었을 것”

앞선 두 사례처럼 소아·청소년기를 지난 이후에 ADHD 진단을 받는 환자가 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2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7년에서 2021년까지 5년간 ADHD 진료현황(공단은 ‘활동성 및 주의력 장애’로 분류)을 분석한 결과, 전체 ADHD 환자는 5만3056명에서 10만2322명으로 약 2배가 됐다. 같은 기간 연령대별로 10대는 1.39배(3만204명→4만2265명)가 된 데 비해 20대는 3.84배(5761명→2만2132명), 30대는 6.43배(1494명→9614명)가 됐다. 40~60대 환자도 약 4배가 되는 등 성인 증가 폭이 두드러졌다.

이해국 의정부성모병원 정신의학 교수는 “5년 전부터 20대 환자가 확실히 많이 늘었고 최근에는 50대 환자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ADHD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확산했고 코로나19 이후 정신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부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라고 했다.

성인의 진단이 늘어난 것에 대해선 “성인이 된 후 해당 증상이 생긴 게 아니라 아동·청소년 시기에 증상이 분명 있었는데 진단을 못 받은 사례일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ADHD가 발생하는 원인을 아직 명확하지 않지만, 유전적 영향이 큰 것으로 추정되며 과도하게 중독적인 물질이나 행동에 노출되는 등 환경적 영향도 복합적으로 작용한다”고 설명했다.

“졸업신청 까먹고 휴대전화 자주 분실”

ADHD의 주요 증상은 과잉행동과 충동성, 주의력 결핍 등이다. 부수적인 증상으로 감정 조절의 어려움, 대인 관계의 어려움, 학습 및 수행 능력의 저하 등이 있다. 안재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성인 ADHD 상담 사례를 보면 수강신청을 해야 하는데 일정을 놓치거나, 휴대전화나 카드를 자주 잃어버리고, 졸업 신청 기한 자체를 놓치는 등의 모습을 보인다”고 말했다.

이해국 교수는 조기 치료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주변에서 잘 모르기 때문에 계속 지적하고 혼내는 상황이 반복된다. 그러다 보면 불안증이나 대인기피증이 생겨 성인이 돼도 대학생활이나 직장생활로 진입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이어 “청소년 시기에 적극적으로 진료를 받는 게 예방책이 될 수 있고 증상이 심하지 않은 경우 생활 습관 변화 노력을 통해서도 증상을 조절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ADHD 치료는 약물 복용을 통해 이뤄진다. 이해국 교수는 “보통 전두엽에서 도파민의 활동성을 증가시키는 정신자극제를 복용한다. 결과적으로 전두엽에서 도파민과 관련된 회로의 활성을 높여줘서 주의력이나 집중력을 높여주게 된다. 이와 더불어 계획표를 세우거나 규칙적인 생활을 하는 등의 인지행동 치료도 함께 한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