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돈나무 언니 부활?… '폭망 테슬라' 줍줍 그 뒤, 1월 수익률 27%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머니랩] 성장주 투자    

캐시 우드 아크 인베스트먼트 CEO. AFP=연합뉴스

캐시 우드 아크 인베스트먼트 CEO. AFP=연합뉴스

‘돈나무 언니’의 부활이다. 캐서린(캐시) 우드 아크 인베스트 최고경영자(CEO)가 굴리는 상장지수펀드(ETF)가 지난달 최고의 월간 수익률을 기록했다. 아크 인베스트의 대표 상품인 아크 이노베이션 ETF의 1월 수익률은 27.8%. 2014년 펀드 출시 이후 최고 월간 수익률이었다.

사실 캐시 우드는 지난해 마음고생을 꽤 했다. 2020년 152.8%까지 치솟았던 펀드 수익률이 고강도 긴축 여파로 지난해 -60.4% 하락한 탓이다. 그는 지난해 12월 투자자 설득을 위해 한국까지 직접 달려오기도 했다.

자료: 아크 이노베이션

자료: 아크 이노베이션

캐시 우드를 소환한 이유는 미국 금리 인상이 예상보다 장기화할 조짐을 보이며 성장주 중심의 투자에 또다시 고개를 갸웃하게 돼서다. 이럴 때 ‘성장주의 무덤’이던 지난해 성장주를 더 사모았던 그의 ‘청개구리 투자’ 전략을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지난달 16일 아크 이노베이션 ETF 구성 종목을 보면 현재 테슬라(10.44%)를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지난해 이 종목의 수익률은 사실상 ‘폭망’에 가까웠다. 우드는 지난해 폭망한 종목을 되레 ‘줍줍’(줍고 또 줍는다)했다.

우드는 지난해 11월 말 CNBC와의 인터뷰에서 “인플레이션이 정점에 도달한 것 같다. 이것이 우리의 전략이 지난 1년 반~2년 동안 두들겨맞은 이유라면 반대 시나리오에선 우리가 이익을 얻을 수 있다고 추측할 수 있다”고 밝혔다. 캐시 우드의 역발상 투자는 현재까진 성공한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11월 9일 해당 펀드에 가입했다면 지난달 16일 기준 수익률은 29%다. 이 기간 코인베이스(42.6%)와 테슬라(13.8%)가 오른 덕이다. CNBC에 따르면 캐시 우드는 혁신 기업의 시장 가치가 지난해 13조 달러에서 2030년까지 연평균 40% 성장해 200조 달러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그가 간과한 것이 있다. 그가 말한 ‘금리 정점’이 좀처럼 다가오지 않고 있는 것. 미국의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에 이어 생산자물가지수(PPI)도 오름폭이 컸다. PPI는 전달보다 0.7% 오르며 지난해 6월 이후 가장 높은 상승 폭을 기록했다. 미 연방준비제도(Fed) 고위 인사들도 공공연히 빅스텝(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 가능성을 내비치고 있다. 로레타 메스터 클리블랜드 연은 총재는 지난달 16일 “다음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0.5%포인트의 금리 인상 가능성이 열려 있다”고 말했다.

자료: 아크 이노베이션

자료: 아크 이노베이션

금리 인상은 성장주에 치명적이다. 박소연 신영증권 투자전략부장은 “미국의 1월 CPI·PPI 수치를 보면 인플레이션이 더 떨어지기보다 현 수준에서 굳어질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며 “미국이나 한국이 연내 금리를 인하할 수 있다는 기대가 불발되며 성장주 투자는 이른 감이 있다”고 분석했다.

그렇다고 성장주 투자에 손 놓고 있기도 찜찜하다. 지난달처럼 성장주의 ‘깜짝 랠리’가 있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개별 주식에 대한 매수 타이밍을 잡기 힘들 땐 ETF를 통한 분산투자가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조언한다.

이승원 미래에셋자산운용 ETF 마케팅 본부장은 “미국의 금리 피벗(Pivot·방향 전환)이 조금 연기되더라도 기술력을 가진 기업에 대한 선별적 투자가 유효해지는 시기라고 판단된다. 미국 주식이 선행적으로 먼저 움직이기 때문에 S&P500 지수에 투자하는 것이 가장 안정적이며, 기술주 비중이 높은 나스닥 100이나 미국 테크 톱10 등 기술주 비중이 높은 ETF를 추천한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