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착히 글로벌협력팀장
옥스퍼드와 함께 영국 지성의 양대 산맥인 케임브리지 대학에서 최근 먹거리를 둘러싼 논쟁이 불거졌다. 지난주 대학 학생회가 실시한 투표에서 대의원들의 압도적인(72%) 찬성으로 캠퍼스 내 모든 식당을 식물성 식자재만 사용하는 비건(vegan) 업소로 바꾸자는 결정이 내려진 것이다. 학생회는 이번 결정이 기후 변화와 생명 다양성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것이라며, 이 과감한 전환을 위해 대학 당국과 본격적 협의를 시작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과연 육류는 물론 우유·달걀 같은 모든 동물 유래 식재료가 케임브리지 대학 식당에서 완전히 사라질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케임브리지 대학 학생들이 대학 내 식당에서 모든 육류를 배제하기로 결정한 후 밝은 표정으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Plant-Based Universities]](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302/28/e0490a08-d0c0-47cf-b6de-7c95c699756f.jpg)
케임브리지 대학 학생들이 대학 내 식당에서 모든 육류를 배제하기로 결정한 후 밝은 표정으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Plant-Based Universities]
케임브리지 대학의 먹거리 관련 ‘파동’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이미 2016년 소고기와 양고기가 모든 대학 내 식당에서 추방된 바 있다. 소위 되새김(ruminant) 동물 산업이 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줄여보겠다는 의도였다. 그럴 만도 한 것이 영국인 한 명의 연간 평균 육류 소비는 82㎏으로 세계 평균의 두 배에 육박하는 데다 소고기와 양고기는 그들이 가장 즐겨 먹는 육류다. 옥스퍼드 대학도 이미 3년 전 같은 결정을 내렸고, 그에 따른 논쟁과 반발이 이어졌다.
영국 대학들의 이러한 비건 전환 움직임은 ‘식물기반 대학’(Plant-Based Universities)이라는 전국 학생단체가 이끌고 있다. 이 단체는 오는 2024년까지 영국 대학이 제공하는 모든 메뉴에서 동물성 식재료를 배제하여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고 지구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의지를 전 세계에 보여주자는 담대한 목표를 천명했다. 환경 파괴를 막는 연구에 앞장선 대학 지성인들이 더 이상 먹거리가 지구에 미치는 악영향을 외면해서는 안 된다는 주장이다. 설득력이 있는 주장에 네덜란드와 호주 학생들도 동참 의지를 보이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축·수산업과 낙농업이 배출하는 지구 온난화 가스가 자동차·항공·철도 등 운송업 전체에서 배출되는 양보다 많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지구 인구가 1% 많아질 때마다 축산업의 동물 개체 수가 2% 늘고 있는 것도 현실이다. 악순환이 계속되는 것이다. 이 대목에서 미국의 저명한 비영리 민간 환경 연구기관인 세계자원연구소(World Resources Institute)가 주창한 한 문구가 떠오른다. “단 하나의 육류 요리를 식물 기반으로 대체하면 당신의 휴대전화를 2년간 충전할 때 배출되는 지구온난화 가스를 줄일 수 있다.” 작은 실천이 큰 변화를 끌어낼 수 있다는 측면에서 설득력 있게 들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