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가구주인 청년 부채 평균 8455만원… 10년 전의 2.5배

중앙일보

입력

청년 4~5명 중 1명은 연소득 3배 이상의 빚을 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주인 청년은 평균 8000만원이 넘는 부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평균 부채액이 10년새 2.5배 커졌다.

청년이 가구주인 가구의 부채가 급증했다. 연합뉴스

청년이 가구주인 가구의 부채가 급증했다. 연합뉴스

27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청년미래의 삶을 위한 자산 실태 및 대응방안’(곽윤경 외) 보고서에 따르면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원자료를 분석한 결과 19~39세 청년이 가구주인 가구의 평균 부채는 2021년 8455만원이었다. 10년 전인 2012년에는 3405만원이었다.

부채는 임대보증금을 제외한 금융부채로, 평균값은 부채가 없는 청년을 포함해 계산됐다. 부채가 있는 청년만을 대상으로 하면 평균 부채액은 1억1511만원(2012년 5008만원)에 이른다.

부채의 위험 수준을 살펴보기 위해 소득 대비 부채비(DTI)를 따져봤더니, 청년 가구주 가구 중 300%가 넘는 경우가 21.75%나 됐다.

2012년 8.37%였던 것을 고려하면 10년새 2.60배 급증한 것이다.

DTI가 300% 이상인 경우는 부부가구와 자녀가구에서 1인가구보다 상대적으로 많았고 증가 속도도 가팔랐다. 소득 저분위(저소득자)일수록, 수도권이 비수도권보다 컸다.

청년들의 빚이 늘어난 것은 부동산 문제에서 기인한 경우가 많았다.

평균 부채액 8455만원 중 79%인 6649만원은 금융기관 담보대출이었다. 또 금융기관 신용대출(마이너스 통장 포함)은 1342만원이었다. 10년 사이 금융기관 담보대출이 2.6배, 금융기관 신용대출이 2.0배로 늘었다.

용도별로는 주거마련을 위한 부채가 69%인 5820만원이었고 사업·투자 용도가 1398만원이었다. 10년새 주거마련 용도가 2.9배, 사업·투자 용도가 1.6배 상승했다.

보고서는 “주거 마련을 위한 부채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지만, 주거 목적이 아닌 부동산이나 금융자산 투자를 위한 부채가 늘어나는 현상이 보인다”며 “영끌과 빚투로 금융자산과 부동산을 구매한 이들은 향후 자산 감소, 부채 증가 등으로 사회적 약자로 전락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청년들이 처한 위험을 낮출 대책으로 ▶청년 대상 재무건강바우처사업 실시 ▶청년 자산형성 관련 사례관리 강화 ▶부채발생 위험 예방과 금융 이해력 향상 위해 학교 교육에 금융교육 정규 교과 편성 ▶부채로 어려움 겪는 청년 대상 자립 지원 프로그램 제공 ▶신혼부부에 집중된 생애 최초 내 집 마련 등 혜택 청년층으로 확대 ▶부채·채무조정 제도 인지도 향상 ▶사회안전망 강화 등을 제시했다.

이 기사 어때요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