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종이교과서 사라질까, 2025년 ‘디지털교과서’ 도입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2025년부터 교실에서 인공지능(AI) 기술을 적용해 학생 수준별 맞춤 교육을 제공하는 ‘AI 디지털교과서’가 등장한다. 도입 초기 3년간 종이 교과서도 함께 사용하지만 2028년 이후에는 디지털교과서로 전면 전환할 수 있다.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23일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방안’을 발표했다. 디지털교과서는 2025년 초등학교 3·4학년, 중학교 1학년, 고등학교 공통·일반선택과목에 우선 도입된다. 올해 초등 1·2학년과 초등 5학년, 중학교 2학년 학생이 첫 대상이 되는 셈이다. 이어 2026년에는 초등학교 5·6학년, 중학교 2학년, 2027년에는 중학교 3학년까지 대상을 넓힌다. 초등학교 1·2학년과 고교 일부 과목을 제외하면 전 학년으로 확대된다. 디지털교과서는 기존 교과서의 학습 콘텐트에 AI 기반의 코스웨어(Courseware·교과과정 프로그램)를 적용한 신개념 교과서다. 과목에 따라 메타버스, 음성인식, 필기인식 등 다양한 기술을 적용할 수 있고 학생들의 학습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분석해 교사들이 수업에 활용하도록 한다.

교육부는 수학·영어·정보 교과에 디지털교과서를 우선 도입하기로 했다. 수학에서는 AI 튜터(보조교사)가 모르는 개념을 설명하고, 문제풀이 과정을 돕는 등 개별 학생 수준에 맞춰 가르친다.

‘디지털교과서’ 4년 뒤 스마트기기 409만대 확보가 숙제

영어는 AI 음성인식을 활용해 듣기와 말하기 연습을 할 수 있다.

2025년부터 초·중등학교에서 소프트웨어·인공지능 교육이 필수화되면서 정보 교과에서는 디지털교과서로 코딩을 체험하거나 실습할 수 있다. 교육부 관계자는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하면 학생이 직접 코딩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AI가 시연하는 것을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디지털교과서는 기존 교과서 발행사가 단독으로 개발하거나 기술 역량을 갖춘 에듀테크 업체와 협업해 만들 수 있다. 교육부는 8월까지 디지털교과서 개발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 한국교육개발원을 ‘디지털교육지원센터’로 지정해 디지털교과서 활용 교수·학습 모델을 개발한다.

관건은 충분한 디지털 기기 확보다. 모든 학생에게 태블릿PC나 노트북컴퓨터 같은 기기를 나눠줘야 한다. 하지만 지난해 3월 기준 전국 학교에 보급된 디지털 기기는 151만 대다. 학생 100명 중 28명만 디지털교과서로 수업이 가능한 수준이다. 교육부는 2027년까지 디지털 기기 409만 대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2027년까지 아직 4년이 남았지만 교육부 목표가 실현될지는 미지수다. 디지털 기기 보급 책임을 떠맡은 것은 시·도교육청이기 때문이다. 디지털 기기 보급률은 지역마다 차이가 크다. 부산은 올 2월 기준 100% 보급을 완료했지만 대구는 66%, 광주광역시는 37%에 불과하다. 서울은 중학교 2학년에게만 보급을 완료했다.

교사의 디지털 활용 역량을 끌어내야 하는 과제도 있다. 교육부는 “2024년까지 AI 디지털교과서 적용 대상 교원의 40%, 2026년까지 100% 연수를 완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올 하반기 7개 시범교육청을 선정해 디지털 선도학교 300개교를 운영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