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SM 주총 한달 앞…‘지분 18%’ 기관투자가 표심 어디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하이브가 SM엔터테인먼트의 최대주주가 됐지만, 경영권을 확보했다고 볼 순 없다. 기관투자가 또는 소액주주가 힘을 모으면 상황은 뒤집힐 수 있다. 다음 달 31일로 예정된 주주총회에서 ‘캐스팅보터’가 어느 쪽 손을 들어줄지가 중요해졌다.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하이브는 지난 22일 약속한 날짜(3월 6일)보다 앞당겨 이수만 전 SM 총괄 프로듀서 지분 14.80%(352만3420주)를 4228억원에 확보했다. 이수만의 남은 지분(3.65%) 등을 합치면 약 18% 확보했다. 이는 경영권 행사하기엔 부족하다. 투자업계에서는 SM을 연결 자회사로 편입하려면 적어도 지분 30%는 필요하다고 본다.

하이브는 공개매수가를 12만원에서 상향 조정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 때문에 하이브가 공개매수로 SM 지분을 얼마나 추가할 수 있을지 불투명하다. SM 주가는 한때 13만원까지 치솟았고, 23일엔 12만6300원으로 장을 마감했다.

하이브가 계산한 공개매수 자금은 약 7000억원. 이를 위해 계열사에서 단기 차입한 자금은 3200억원이다. 공개매수가를 14만원으로 올릴 경우 필요 자금이 9000억원으로 늘어난다. 이렇게 SM 인수에 성공한다고 해도 부채에 허덕이는 ‘승자의 저주’에 빠질 수 있다.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자금력이 넉넉한 쪽은 카카오다. 만약 카카오가 공개매수가를 14만원대로 올려 역공에 나설 경우 판세는 뒤집힐 수 있다. 카카오는 지난 1월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와 싱가포르투자청에서 1조1540억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해 충분한 실탄을 갖추고 있다.

김진구 키움증권 연구원은 “카카오엔터테인먼트가 싱가포르투자청(GIC)과 사우디 국부펀드(PIF)로부터 유치한 투자금 중 1차 잔금 8975억원이 곧 유입된다”며 “기존에 받은 투자금 5627억원을 합치면 총 1조4602억원의 투자 활용 자금을 확보하게 되며, 이를 활용할 경우 공개매수 단가는 주당 최대 14만1000원”이라고 분석했다.

앞으로 SM 경영권 분쟁의 향방은 다음 달 31일 열리는 정기주주총회에서 정해진다. SM의 기존 이사진은 모두 물러난다. 하지만 SM이 제안한 사내이사 후보에 대해 하이브는 해당 후보들에게 반대표를 던질 예정이다. 하이브와 이수만의 보유 지분은 18% 정도. 지난해 9월 말 기준 국민연금공단(8.96%), KB자산운용(5.12%), 컴투스(4.20%)가 가진 지분 역시 18%로 만만치 않다.

캐스팅보트를 쥔 기관투자가의 표심은 안갯속이다. 이 중에서 국민연금과 KB자산운용은 과거 이수만에게 반기를 든 전력이 있어 반(反)이수만 세력으로 분류돼 왔다. 지난해 주총에서 이수만의 독주를 막기 위해 얼라인파트너스가 추천한 곽준호 감사 후보에 찬성표를 던졌다. 반대로 컴투스는 이수만 측 우호 지분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이들 모두 “과거 결정과 앞으로 행보는 무관하다”며 중립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KB자산운용 관계자는 “수익률을 고려한 결정일 뿐 특정 세력의 우호 또는 반대 지분으로 보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밝혔다. 송재준 컴투스 대표는 지난 10일 콘퍼런스콜에서 “주주 이익과 사업적 시너지를 극대화할 방향으로 의사결정을 모색해 나가겠다”고 답했다.

소액주주(1% 미만 보유·5만2139명)의 표심이 더욱 소중해졌다. 이들을 설득하기 위해 하이브는 “SM의 지배구조를 개선했다”고 주장하고 있고, SM 현 경영진은 “SM 아티스트가 뒷전으로 밀리며 주가가 내려갈 것”이라는 논리로 맞서고 있다.

발등에 불이 떨어진 SM과 하이브 경영진은 모두 의결권 수거 대행업체를 통해 소액주주의 의결권을 모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