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가정양육' 만 3세 전수조사…'김치통 시신 은폐' 사건 밝혀냈다

중앙일보

입력

정부세종청사 보건복지부. 뉴스1

정부세종청사 보건복지부. 뉴스1

정부가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 다니지 않는 만 3세 아동에 대해 소재와 안전을 확인하는 전수조사를 벌여 도움이 필요한 2000명의 아동에게 복지서비스를 지원했다고 밝혔다.

23일 보건복지부와 경찰청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만 3세(2018년생) 아동 중 국내에 거주하며 어린이집·유치원에 다니지 않는 2만4756명에 대해 지난해 10∼12월 소재·안전 전수조사를 완료했다.

복지부가 대상 명단을 지방자치단체에 제공하면 주민센터의 아동·복지 담당 공무원이 아동 거주지를 방문해 아동 양육과 정서 상황을 조사하는 방식이다.

이번 조사 대상은 2018년 출생 아동 33만2787명의 7.4%로, 전체 출생 아동 감소에 따라 조사 대상도 전년도(2만6251명)보다 줄었다.

조사 결과 대상 아동 중 90% 이상(2만2665명)이 안전하게 양육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고, 2078명(8.4%)에 대해서는 양육환경 개선과 아동발달에 필요한 복지서비스를 연계·지원했다고 복지부는 전했다.

뇌전증으로 어린이집에 다니지 못하는 저소득층 가정의 한 아동에겐 취약계층 아동을 위한 '드림스타트' 사업에 연계해주고 심리치유서비스를 지원했으며, 경제적 어려움 속에 기저질환이 있는 발달지연 아동을 키우는 한 가정엔 기초생계급여 등을 받을 수 있게 했다.

아동 소재와 안전을 파악하기 어려운 12건에 대해선 경찰에 수사를 의뢰해 9명의 소재와 안전을 파악했다. 나머지 3명 중 2명은 사망 사실이 확인됐으며, 1명은 수사가 진행 중이다.

숨진 2명 중 1명은 경기도 포천에서 친모가 생후 15개월 딸이 숨지자 3년간 빌라 옥상에 시신을 숨기고 은폐한 이른바 '김치통 시신 은폐 사건'의 피해 아동으로, 이번 조사과정에서 발각돼 지난해 11월 부모가 경찰에 입건됐다.

나머지 1명은 아동학대와 무관한 사유로 사망한 후 사망신고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사례라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복지부와 경찰청은 올해 10∼12월엔 2019년생 아동에 대한 전수조사를 벌일 예정이다.

이 기사 어때요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Innovation La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