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는 힘들면 어떤 방식으로든 신호를 보내요. 이걸 놓치면 아이는 ‘나는 혼자구나’ 하고 느끼고, 상처는 깊어질 겁니다. 아이가 말을 안 한다고요? 그럴 땐 그림을 보세요. 그림으로 아이 마음을 읽을 수 있어요.
30년 임상 경력의 미술치료 전문가 김선현(디지털치료임상센터장) 연세대 원주의과대학 교수는 미술 치료의 힘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모르고 지나칠 뻔한 아이의 구조 신호를 그림으로 포착해 제때 적절한 도움을 건넬 수 있다는 것이다.

베테랑 임상미술치료사인 김현선 교수는 “그림은 아이의 마음을 대신 말해줄 수 있다”고 말했다. 김경록 기자
김 교수는 세계미술치료학회장, 대한임상미술치료학회장 등을 역임한 자타 공인 국내 최고의 미술 치료 권위자다. 그는 30년간 마음의 병을 안고 사는 수많은 사람을 만났다. 가족과의 이별, 성폭력 등으로 마음의 문을 닫은 사람부터 세월호 사고 피해자, 일본군 위안부 생존자 등 트라우마를 딛고 살아가는 사람들까지, 가늠하기 힘든 상처를 입은 이들이 많았다. 김 교수는 그림으로 이들의 심리 상태를 진단하고, 다양한 미술 프로그램을 통해 상처를 치유했다.
그런 그가 hello! Parents와 함께 ‘그림으로 하는 마음 상담’을 시작한다. 그림을 통해 아이의 마음을 분석하고, 양육자들에게 도움이 되는 미술 활동도 소개한다. 김 교수는 “코로나19로 오랜 사회적 격리 기간을 거치면서 우울과 불안,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아이들이 늘어났다”며 “지금이야말로 아이들의 심리 건강 상태를 되돌아봐야 할 때”라고 말했다.
미술로 치료가 될까? 된다!
김 교수는 상담 칼럼을 시작하기에 앞서 ‘미술이 얼마나 큰 치료 효과가 있겠나’ 하는 의구심부터 떨쳐야 한다고 말했다. 바로 그 의심이 미술 치료를 방해하기 때문이다.
- 미술 치료가 친근하게 느껴지긴 하지만 정확히 어떤 건지 잘 모르겠어요. 그래서 효과에 대한 의심이 드는 것 같아요.
- 미술 치료는 미술 활동을 통해 감정과 내면을 표현하게 하고, 심신의 안정을 찾아주는 치료법이에요. 그림 그리기 외에도 만들기, 부수기, 쌓기 등 다양한 활동을 하죠. 일상 속에서는 꺼내기 힘든 자신의 감정, 갈등, 공격성까지도 마음껏 표출합니다. 이 과정에서 자신을 알게 되고 마음의 짐을 더는 심리적인 치료 효과가 분명히 있어요.
- 미술 치료를 통해 병의 원인을 제거하는 건 아니잖아요. 예를 들어 암환자에게 미술 치료가 어떻게 도움이 되나요?
- 암환자는 죽음과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불안, 억울함 등으로 인해 마음이 매우 복잡합니다. 미술 치료에선 먼저 ‘당신이 암이라는 걸 알게 됐을 때의 생각과 감정을 그려 보라’고 해요. 그림을 보면 환자가 상황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가 드러나죠. 암이라는 현실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부정의 단계인지, 화를 내는 분노의 단계인지, 아니면 모든 걸 다 받아들인 수용의 단계인지요. 이를 토대로 각 상황에 맞는 미술 치료가 들어갑니다. 치료 과정에서 자기의 감정을 마주하고 그림에 쏟아내면서 심리적으로 치유되는 분이 많아요. 이렇게 정신적으로 안정을 찾으면 생존율, 완치율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도 있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