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맞춤광고 대체할 수익모델? 페북·인스타 ‘유료 인증’ 도입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2면

페북·인스타‘유료 인증’도입

페북·인스타‘유료 인증’도입

메타가 운영하는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이 유료 인증 서비스를 도입한다. 지난해 12월 재출시된 ‘트위터 블루’와 비슷한 서비스를 선보이는 것이다. 그동안 맞춤형 광고를 기반으로 수익을 올려온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시장이 유료 구독 서비스로 무게 중심을 옮기게 될지 관심을 끌고 있다.

마크 저커버그 메타 최고경영자(CEO)는 19일(현지시간) 페이스북을 통해 “‘메타 베리파이드(Meta Verified)’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 이용자가 제출하는 정부 발행 신분증을 확인해 실제 본인임을 인증하는 ‘파란 딱지(blue badge)’를 부여한다. 이용료는 월 11.99달러(약 1만5500원)로 책정됐지만, 아이폰 운영체제인 iOS 사용자는 수수료 포함 월 13.99달러(1만8000원)를 내야 한다. 이번 주 호주와 뉴질랜드를 시작으로 다른 나라로 확대될 예정이다.

메타는 그동안 정치인·기업인·연예인 등 유명 이용자에 한해 인증 서비스를 무료로 진행해 왔다. 사용자 아이디 옆에 붙은 파란색 체크 표시다. 저커버그는 “본인을 사칭하는 가짜 계정으로부터 진짜 계정을 보호할 수 있고, 고객지원 서비스에 곧바로 접근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휴대폰 번호나 이메일 주소만 있으면 누구나 쉽게 가입할 수 있고, 한 사람이 여러 계정을 만들 수 있는 탓에 가짜 계정을 비롯해 거기서 유포되는 가짜 정보가 범람하게 되면서 이를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한 것이다.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세계적으로 빅 테크 기업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는 추세도 영향을 미쳤다. 지난 17일 외신에 따르면 알파벳·메타·트위터 등 미국 빅 테크 기업은 유럽연합(EU)의 디지털서비스법(Digital Services Act·DSA)에 따라 초대형 온라인 플랫폼으로 지정됐다. DSA는 인종·성별·종교 등 편파적 발언이나 테러·아동 학대 등 불법 콘텐트의 유포를 막기 위해 도입된 법안으로, 위반 시 매출의 최대 6%에 해당하는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다.

그간 이용자 맞춤 광고로 성장해온 메타의 수익 모델이 한계에 부닥친 것도 유료 인증 서비스에 나선 요인이란 분석이다. 페이스북·인스타그램 가입 시 맞춤형 광고에 동의하도록 한 조항이 문제가 되면서 올 초 아일랜드 데이터보호위원회가 3억9000만 유로(5400억원)의 벌금을 부과했다. 지난해 9월 한국 개인정보보호위원회도 메타에 과징금 308억원을 부과하는 등 세계 각국에서 날아온 고지서가 켜켜이 쌓여가고 있다. 매출(1166억 달러, 151조원) 중 광고 비중이 97%(1136억 달러, 148조원)에 달하는 만큼 직격탄을 맞았다.

하지만 유료 인증 모델이 수익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 미지수라는 관측도 나온다. IT 전문 매체 디인포메이션에 따르면 앞서 유료 인증 서비스를 시작한 트위터 블루 회원은 지난달 기준 미국 18만명을 포함해 전 세계 29만 명 정도다. 지난해 트위터 월간 이용자 수(MAU) 3억6840만 명의 1%도 되지 않는다. 유료 모델은 다각도로 개발 중이다. 트위터의 수퍼 팔로우, 인스타그램의 섭스크립션, 틱톡의 라이브 등은 크리에이터를 중심으로 유료 구독자에게 독점 콘텐트를 제공하는 방식을 테스트하고 있다. 현재 가장 좋은 반응을 얻고 있는 건 스냅챗 플러스. 지난해 6월 출시 이후 이용자 200만 명을 돌파했다. 월 3.99달러(5000원)를 내면 나만의 이모티콘 등을 만들 수 있다. 결국 차별화된 서비스가 관건이 될 전망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