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대입 정시모집에서 대다수 교육대학교와 대학 초등교육과의 경쟁률이 사실상 미달에 가까웠다. 수시모집 정원을 채우지 못해 정시로 충원에 나선 인원도 최근 5년 새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7월 서울교육대학교 총학생회 학생들이 서울 종로구 서울시교육청 앞에서 손팻말을 들고 2023년도 서울 초등임용 교원감축안을 규탄하고 있다. 뉴스1
16일 종로학원에 따르면 2023학년도 전국 10개 교대와 이화여대·제주대·한국교원대 초등교육과 등 총 13곳의 정시모집 평균 경쟁률은 2.0대 1이었다.
정시 경쟁률은 최근 5년 사이 가장 낮았다. 한국교원대(5.0대 1), 이화여대(3.9대 1)를 제외하면 모두 경쟁률이 3대 1 미만으로 사실상 미달 수준이다.
입시업계는 정시 경쟁률이 3대 1 미만이 되면 사실상 미달로 본다. 정시에서 수험생이 최대 3곳까지 입시 원서를 넣을 수 있어서다.
경인교대(1.4대 1), 대구교대(1.7대 1), 서울교대·부산교대·진주교대(1.8대 1), 공주교대(1.9대 1) 등 6곳은 2대 1이 되지 않았다.
전년도 대입과 비교하면 교대 경쟁률 하락세는 두드러진다. 13개 교대·초등교육과의 2022학년도 평균 정시 경쟁률은 2.4대 1이었다. 경쟁률이 가장 높은 곳은 7대 1을 넘었고, 2대 1 미만인 교대는 한 곳뿐이었다.
![[그래픽] 전국 교대·초등교육과 정시모집 경쟁률 (서울=연합뉴스) 이재윤 기자 = 16일 종로학원에 따르면 2023학년도 전국 10개 교대와 이화여대·제주대·한국교원대 초등교육과 등 총 13곳의 정시모집 평균 경쟁률은 2.0대 1이었다. 정시 경쟁률은 최근 5년 사이 가장 낮았다. yoon2@yna.co.kr 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끝)](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302/16/4521c32f-9234-4230-a17e-d9f0e70aae74.jpg)
[그래픽] 전국 교대·초등교육과 정시모집 경쟁률 (서울=연합뉴스) 이재윤 기자 = 16일 종로학원에 따르면 2023학년도 전국 10개 교대와 이화여대·제주대·한국교원대 초등교육과 등 총 13곳의 정시모집 평균 경쟁률은 2.0대 1이었다. 정시 경쟁률은 최근 5년 사이 가장 낮았다. yoon2@yna.co.kr 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끝)
수시모집에서 정원을 채우지 못해 정시로 이월된 인원도 2023학년도 대입에선 모두 502명에 이르렀다. 최근 5년 중 가장 많고, 2022학년도(465명)보다 8.0% 늘었다.
정시에 붙고도 교대를 포기하고 다른 대학을 선택한 학생이 늘어나면서 정시 추가합격 인원은 지난해 기준 305명으로, 1년 전보다 14.7% 늘었다.
종전까지 교대는 학생들의 선호도가 높은 편으로, 경쟁률이 3대 1 이하로 떨어져도 실제 미달로 이어지는 경우는 없었다.
그러나 이런 추세가 이어진다면 향후엔 미달 상황을 맞게 될 지 모른다는 분석이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예전에는 교대 정시 추가모집이 웬만하면 발생하지 않았지만, 앞으로는 경쟁률 3대 1 이하인 교대는 (학생 모집) 위험 수위일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