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로컬 프리즘

KAIST와 난방비 폭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6면

김방현 기자 중앙일보 내셔널부장
김방현 내셔널부장

김방현 내셔널부장

대전에 있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 원자력·양자공학과가 차츰 생기를 되찾고 있다. 이번 신학기 학사와 석·박사 과정 지원자 수는 총 44명으로 지난해 봄 학기 28명보다 크게 늘었다. 올해 지원자 중 학사과정은 8명이다. 지난 5년간 봄학기 학사과정에 4~5명씩 지원했던 점을 고려하면 확 달라진 모습이다. 원자력 살리기를 선언한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나타난 현상이다.

KAIST 원자력 전공 학생 생활도 바뀌었다. 문재인 정부 때 이들은 거리로 나가 원자력살리기 서명운동을 하다가 지금은 캠퍼스에서 공부에 집중하고 있다. 서명운동을 주도했던 조재완(KAIST 원자력·양자공학과 박사과정)씨는 “연구만 할 수 있게 돼 행복하지만, 탈원전 부작용이 사라진 건 아니다”라고 말했다.

조재완 녹색원자력학생연대 공동대표(가운데)가 국회 소통관에서 탈원전 철회 촉구 기자회견을 열었다. [중앙포토]

조재완 녹색원자력학생연대 공동대표(가운데)가 국회 소통관에서 탈원전 철회 촉구 기자회견을 열었다. [중앙포토]

조씨 말대로 많은 국민은 탈원전 후폭풍을 본격적으로 맞고 있다. 올겨울 2~3배 폭등한 난방비 문제는 탈원전 영향이 크다는 게 전문가들의 일치된 견해다. 문 정권은 5년간 원자력 폐기에 올인했다. 월성 1호기는 영구정지됐다. 진작 가동했어야 할 신고리 5·6, 신한울 1·2·3호기는 아직 완공되지 못했고 한빛 4호기는 5년간 멈췄다. 일부 석탄 화력발전소까지 폐쇄했다. 이런 영향으로 11GW의 전력량이 줄었다. 이는 전국의 모든 가구(2073가구, 2020년 기준)가 1년간 사용할 수 있는 규모다.

문 정권은 대신 발전용 에너지를 LNG(액화천연가스)로 해결하려 했다. 전력거래소에 따르면 2017년 22.6%였던 LNG 발전비율이 2021년에는 30.4%까지 치솟았다. 수입에 의존하는 LNG 수요가 급증하면서 평소보다 비싼 값에 들여올 수밖에 없었다고 한다. LNG는 발전용뿐 아니라 난방용 핵심 에너지다.

더 심각한 문제가 있다. 난방비 상승은 건강을 위협한다. 난방비를 아끼기 위해 추운 주거 환경을 유지하게 되면 심혈관질환 등 질병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영국 국가통계청에 따르면 잉글랜드와 웨일스에서 2015~2016년 겨울에 2만4300명의 초과 사망자가 발생했다. 초과 사망은 통상 사망자 증가 추이를 벗어나 더 많은 사망자가 생기는 것을 말한다. 사망자 대부분은 세금과 비싼 ‘녹색’ 에너지 가격 때문에 난방비를 절약하다 변을 당했다고 한다.

이런 문제는 원자력 전공 학생들도 줄곧 지적했다. 값싼 원자력을 폐기하면 서민층이 먼저 피해를 볼 것이라고 외쳤다. 이 같은 주장은 ‘위험한 원자력을 써서는 안 된다’ ‘지구를 살려야 한다’는 등 목소리에 묻혔다. 지난 5년간 국정을 책임졌던 민주당은 ‘국민 1인당 최대 25만원(7.2조원) 에너지물가지원금 촉구’를 주장한다. ‘난방비 폭탄’ 책임을 윤석열 정부로 떠넘기며 민생경제를 외치고 있다. 웃기면서도 슬픈 현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