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일보의 프리미엄 디지털 구독 서비스 ‘더중앙플러스(The JoongAng Plus)’가 1월 26일부터 ‘보좌관의 세계’를 연재합니다. 그동안 정치의 무대 뒤편에서 일하던 보좌진을 무대 위로 올려 이들의 활약상을 공개합니다. 국회와 소통하고 싶은 분들에게 요긴한 코너가 될 것입니다. 2월 16일 세 번째 순서로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활약하는 4명의 보좌진을 소개합니다.
국회 정무위원회는 정무(政務)라는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정치·행정의 핵심 부처를 관할하는 상임위원회다. ‘행정위원회’라는 이름으로 국회에 처음 설치됐던 1988년엔 국무총리실과 총무처, 서울특별시 등을 담당했다. 1994년 ‘행정경제위원회’로 개명하면서 경제 정책을 총괄하는 경제기획원이 소관 부처로 편입됐고, 1995년 경제기획원이 통폐합돼 빠진 대신에 신설된 공정거래위원회가 추가됐다.
1998년 정무위원회라는 이름을 얻게 되면서 국무총리실, 국가보훈처, 공정거래위원회, 금융감독위원회(지금의 금융위원회 겸 금융감독원) 등을 담당하는 지금의 틀을 갖추게 됐다.
국무조정실과 국무총리 비서실은 감사원과 더불어 정부 부처 및 국가공무원에 대한 사정(司正) 기능을 갖고 있다. 감사·감찰 권한을 통해 공직 기강을 세운다. 독과점과 불공정 경쟁을 막아 시장 질서를 확립하는 역할을 하는 공정위는 기업 입장에선 저승사자다. 은행·증권·보험·자산운용 등 날로 커지는 금융권의 사정기관 역할을 하는 금융위와 금융감독원 역시 금융사 입장에선 서슬퍼런 칼과 같다.
이런 권력 기관을 담당하는 정무위 멤버들은 고도의 전문지식과 냉철한 판단력이 없으면 이들을 견제하기 어렵다. 정무위에서 날카로운 송곳 역할을 하는 보좌진들의 면면을 살펴보자.
통섭형 인재 박장혁 보좌관 (국민의힘 윤주경 의원실)

국민의힘 윤주경 의원실 박장혁 보좌관. 장진영 기자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윤주경 의원실에서 근무하는 박장혁(55) 보좌관(4급)은 국회에서 좀처럼 보기 드문 융합형 인재다. 학사·석사·박사 전공이 각각 사회복지·경영·컴퓨터공학으로 문·이과를 넘나든다.
중소기업연구원에서 사회생활의 첫발을 내디딘 그는 16대 국회 때 한나라당 강재섭 의원실에 합류하며 의원회관 생활을 시작했다. 한나라당 대표를 지낸 실세 의원실에서 17대 국회까지 일한 그는 이후 고려대 정보보호연구원 사이버 리질리언스(Cyber Resilience) 연구센터의 선임연구위원으로 자리를 옮겼다. 정부 및 국방 분야의 사이버 재난에 대해 연구하는 곳이었다.
지금 보좌하는 윤주경 의원을 만난 건 그가 2012~2015년 독립기념관 사무처장으로 있을 때였다. 당시 직속상관인 독립기념관장이 윤봉길 의사의 손녀인 윤 의원이었다. 윤 의원이 21대 국회에 비례대표로 입성하자 함께 국회로 돌아온 박 보좌관은 민간 영역에서 쌓은 경험을 의정활동에 보태고 있다. 대표적인 게 국방정보화법 개정안이다. 개정 전 국방정보화 체계는 주로 예방활동에 방점이 찍혀 있었다. 하지만 국방정보가 해킹을 당했을 때 사이버 장애가 확산되지 않고 신속히 복구하는 것도 중요하기 때문에 그런 대책들을 개정안에 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