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노인 집단할복이 고령사회 해법" 예일대 日교수 뜻밖의 인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뉴욕타임스가 12일 ‘노인의 집단 할복’을 주장하는 일본 출신 30대 예일대 교수를 소개했다. ‘예일대 교수가 일본에서 제안한 고령자 집단 할복, 그 의미는’이라는 제목의 기사다. 초고령화 사회에 접어든 일본에서 이같은 파격적 주장이 어떤 반응을 얻고 있고, 왜 나오고 있는지 분석하고 있다.

나리타 유스케 예일대 조교수. 사진 인터넷 캡처

나리타 유스케 예일대 조교수. 사진 인터넷 캡처

논란을 일으킨 37세의 나리타 유스케는 도쿄대 출신으로 예일대 조교수다. 그는 2021년 말 온라인 뉴스 프로그램에 나와 고령화 사회가 직면한 여러가지 문제에 대해 “해법은 명확하다. 결국 고령층이 집단 자살 또는 집단 할복하는 것 아닐까”라고 말했다.

지난해 일본 초중고생을 대상으로 한 강연에선 집단 할복 이론을 설명하면서 노인들이 축제를 벌이며 공동체의 번영을 위해 스스로 목숨을 끊는 내용이 담긴 영화를 소개했다.

뉴욕타임스는 나리타 교수가 미국 학계에서는 유명하지는 않지만 파격적인 발언과 안경을 쓴 외모로 관심을 받으며 일본에서 트위터 팔로워가 57만명에 이른다고 전했다.

나리타 교수의 주장이 인기를 끌면서 이에 대한 비판도 높아지고 있다. 도쿄대 사회학자인 혼다 유키 교수는 “나리타의 발언들은 사회 취약계층에 대한 증오를 드러낸다”고 평했다.

코네티컷대의 역사학 교수인 알렉시스 더든은 NYT에 “나리타는 “탁아 시설의 증가, 여성 노동 인구의 확대, 해외 이주노동자들 개방 등과 같이 일본 사회에 활기를 넣을 정책에는 초점을 맞추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나리타 교수는 “집단 할복은 추상적인 은유”라며 “반성을 하고 지난해부터는 그 단어를 사용하지 않고 있다”라고 한발 물러섰다.

그러나 고령층에 대한 의료ㆍ복지 혜택이 일본 경제에 부담이 되고 있다며, 고령 인구가 사라져야 한다는 자극적인 발언을 이어오고 있다.

나리타의 인기는 연금과 사회복지에 대한 정책 변화에 실질적인 영향을 줄 수도 있다. 우익 성향의 슌 오토키타 의원은 “노인이 너무 많은 연금을 받는다. 젊은이들이 심지어 부유한 노인들까지 부양하고 있다”고 했다. 뉴욕타임스는 일본에서는 안락사에 대한 대중적인 지지도 높다고 전했다.

이 기사 어때요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