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중간집계 유출 논란…안 측 “나쁜 의도” 김 측 “터무니없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김기현 국민의힘 당 대표 후보(왼쪽)가 9일 오후 서울 마포구에서 열린 ‘새로운 민심 전국대회’에서 나경원 전 의원과 만나 인사하고 있다. [뉴스1]

김기현 국민의힘 당 대표 후보(왼쪽)가 9일 오후 서울 마포구에서 열린 ‘새로운 민심 전국대회’에서 나경원 전 의원과 만나 인사하고 있다. [뉴스1]

국민의힘 3·8 전당대회 본선에 나설 당 대표 후보 4명, 최고위원 후보 8명 등을 추리는 예비경선(컷오프) 결과가 10일 오전 발표된다.

1위를 놓고 각축전을 벌이는 김기현 의원과 안철수 의원은 하루 전날인 9일 컷오프 여론조사 중간집계 결과 유출 논란과 ‘김·나(김기현·나경원) 연대’ 등을 놓고 신경전을 벌였다.

우선 한 인터넷 매체가 이날 당 관계자 발언을 인용해 “예비경선 중간집계에서 김 의원이 1위를 차지했지만, 과반에는 미달했다”고 보도한 게 논란을 일으켰다. 안 의원 측 이종철 수석대변인은 즉각 논평을 내고 “여론조사 투표율이 50%를 넘지 않은 시점에서 책임 있는 당 관계자의 발언을 인용한 중간 집계가 유출됐다”며 “선관위에 해당 발언자의 신원 확인과 징계를 요청한다”고 밝혔다. 안 의원도 “확인 안 된 일방적 주장으로 사람들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나쁜 의도로 했기 때문에 크게 벌을 내려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김 의원 측 김시관 수석대변인은 “당 선관위에 진상규명을 촉구한다”면서도 “일부에서 보도의 출처가 마치 김기현 후보 측 관계자인 양 터무니없는 의혹을 제기한 데 대해선 유감을 표명한다”고 말했다. 김 의원도 “철저히 규명해 응분의 조치가 따라야 한다”고 했지만, 중간 집계 결과 1위라는 보도 내용을 부인하진 않았다.

당 선관위는 유출은 불가능하다며 해당 매체에 출처 확인과 정정 보도를 요구했다. 김진모 클린경선소위 위원장은 “시스템상 복수의 조사기관이 여론조사를 하고 있는 도중의 중간집계는 당내에선 아무도 알 수가 없다”고 말했다.

같은 날 안철수 당 대표 후보(왼쪽)가 충북 청주 충북도당 당사에서 열린 당원 간담회에 참석해 당원들과 인사하고 있다. [뉴시스]

같은 날 안철수 당 대표 후보(왼쪽)가 충북 청주 충북도당 당사에서 열린 당원 간담회에 참석해 당원들과 인사하고 있다. [뉴시스]

‘김·나 연대’를 둘러싼 공방도 치열했다. 김 의원이 보수단체 행사에 나경원 전 의원과 함께 참석해 활짝 웃는 모습을 연출하며 “나 전 의원은 신뢰를 기반으로 한 정치적 동지”라며 “김기현 당선을 위해서 힘을 합치기로 합의했다”고 말했다.

나 전 의원도 “윤석열 정부의 성공과 총선 승리라는 큰 대의를 앞에 두고 사사로운 생각들을 내려놓을 때”라며 호응했다. 지난 7일 회동 때 굳은 표정과는 다른 분위기다.

이에 안철수 의원은 충북 괴산군 당원간담회에서 “이번에 당 대표를 뽑는 핵심은 내년 총선을 이기기 위해서이지 무슨 누구 누구와 연대를 해서 좀 더 유리하다는 게 핵심이 아니다”라고 불편한 의중을 내비쳤다. 그러면서 “이 사람이 당 대표가 되고 지휘를 해서 우리가 과연 1당이 될 수 있는가가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안 의원은 또 재경 부산인 모임에 참석해 “국민 통합의 첫 번째가 박정희 전 대통령의 ‘잘 살아 보세’ 아니겠느냐”며 “그 구호 하나로 모든 국민이 열심히 일해서 산업화에 성공했다. 얼마나 자랑스러우냐”고 말했다.

물밑에선 본선 커트라인인 4위 싸움도 치열하다. 김기현·안철수 두 의원 외에 팬덤을 가진 황교안 전 대표가 예비경선을 통과할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여론조사에서 급부상한 이준석 전 대표계 천하람 순천갑 당협위원장의 본선 진출 여부가 최종 변수가 될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84만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집계된 선거인단의 표심과 투표율도 승패를 가를 핵심 변수로 꼽힌다.

국민의힘이 확정한 선거인단은 83만9569명으로 역대 최대 규모다. 2년 전 전당대회 때 32만8893명에 비해 2.5배로 늘었다. 20~40대 비중이 32.4%로 20%대에서 30%대로 늘었다. 수도권(37.79%) 다음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권역은 대구·경북(21.03%)이다. 예전처럼 결과를 속단하기 어려운 규모와 분포라는 게 당 관계자의 분석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