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기업 10곳 중 6곳은 성과급…같은 회사서도 차이 벌어져 양극화 심화

중앙일보

입력

사람인 HR연구소=연합뉴스

사람인 HR연구소=연합뉴스

기업 규모뿐 아니라 사업 분야에 따라 같은 회사 내에서도 성과급 차이가 벌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9일 사람인 HR연구소가 기업 341곳을 대상으로 ‘2022년 귀속 성과급 지급 현황’을 설문한 결과에 따르면 기업 10곳 중 6곳(58.4%)이 성과급을 지급했거나 지급할 예정인 것으로 조사됐다.

성과급을 지급하는 기업 비중은 대·중견기업(67.2%)이 중소기업·스타트업(54%)보다 13.2%p 높았다.

성과급 지급 기업의 직원 1인당 평균 성과급 산정 비율은 연봉의 12.4%로 집계됐다. 연봉 5000만원일 경우 620만원을 받는 셈이다.

성과급 규모를 지난해와 비교하면 비슷하거나 확대됐다는 응답이 각각 38.2%와 32.2%로 전체 응답의 70%가량을 차지했다. 지난해보다 줄었다는 응답은 20.1%였다.

일반적으로 보상 규모가 증가하는 것을 고려하면 기업이 복합 위기에 따른 경영 환경 대응 차원에서 재원을 줄이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고 사람인 HR연구소는 전했다.

성과급 지급 이유(복수응답)로는 직원의 사기 진작(63.8%)이 가장 많았다. 성과 목표 달성(49.2%), 인재 관리 차원(26.6%) 등의 순으로 뒤를 이었다. 반면 ‘회사 재정 상태가 좋아져서’라는 응답은 4.5%에 불과했다.

이는 과거 기업들이 정량적인 평가로 성과급을 주던 관행에서 탈피해 핵심 인재를 확보·유지하기 위해 단기 성과를 즉시 보상하고자 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성과급 지급 방식도 ‘개인·부서 실적에 따른 차등 지급’(41.7%)이 대세였다.

실제로 삼성전자의 경우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은 연봉의 50%를 초과이익성과급(OPI)으로 받았지만, 7년 만에 적자를 낸 생활가전사업부는 7%를 받았다.

이어 연봉 비례 정률 지급(16.1%), 연봉 비례 차등 비율 지급(15.1%), 실적·직급·연봉 등과 무관하게 고정 금액 지급(13.6%), 직급·연차에 따른 차등 지급(11.6%) 등의 순이었다.

또 응답 기업의 36.7%는 올해 성과급 지급 방식을 개편하거나 성과급 지급을 신설할 것이라고 답했으며 이중 절반 이상인 55.2%가 개인·부서 실적에 따라 차등 지급한다고 밝혔다.

최승철 사람인 HR연구소장은 “촉발된 인재 전쟁으로 실적에 따라 성과를 바로 보상하는 성과주의가 경영계 전반으로 급격하게 확산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변화하는 상황에 맞춰 보상 재원과 방법, 적시성 등 다양한 부분에서 과거와는 다른 정책을 세워 인재 유치 경쟁력을 높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 어때요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