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한국 저성장 늪 빠지나…올 성장전망, 아시아 주요 12개국 중 꼴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난달 1일 부산 남구 신선대부두 일대에 안개가 끼어 있다. 송봉근 기자

지난달 1일 부산 남구 신선대부두 일대에 안개가 끼어 있다. 송봉근 기자

한국에 따라붙던 ‘한강의 기적’ ‘아시아의 용’ 같은 수식어가 이제 옛말이 돼가고 있다. 코로나19 위기를 딛고 살아나는 듯 했던 한국 경제가 저성장의 벽에 맞닥뜨렸다.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아시아 주요 12개국 중 꼴찌로 추락한다는 전망이 나왔다.

6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9개 해외 주요 투자은행(IB)은 올해 한국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평균 1.1%로 예상했다. 한 달 전 발표한 수치와 동일하다.

이들 IB는 아시아 대부분 국가의 성장률 예측치를 최근 한 달 새 상향 조정했다. 중국(4.8→5.2%), 베트남(6→6.1%), 필리핀(5.1→5.3%), 태국(3.7→3.8%) 등이다. 중국의 ‘위드 코로나’ 전환, 원자재 가격 안정, 통화 긴축 완화 기대 등을 반영했다.

그런데 한국은 예외였다. 1%를 간신히 턱걸이하는 수준의 성장 전망이 유지됐다. 올해 경제성장률로 따지면 아시아 주요 12개국 가운데 최하위다. 선진 경제권으로 분류되는 홍콩(3%), 싱가포르(1.8%)는 물론 ‘저성장의 상징’ 일본(1.3%)에도 뒤지는 수치다.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달 26일 기자 간담회에서 “비관론 일색에서 낙관론이 스멀스멀 나오기 시작했다. 국내 소비지표를 보면 상대적으로 나아지는 느낌이 있다”고 했지만, 한국 경제를 바라보는 해외 IB의 시선은 여전히 차갑다. 정부(1.6%), 한국은행(1.7%), 국제통화기금(IMF, 1.7%)보다 낮은 1% 초반 성장 전망을 고수했다.

한국 경제가 올해 바닥을 딛고 내년 반등하더라도 그 강도가 다른 아시아 국가에 못 미친다는 진단도 함께다. 국제금융센터 집계 결과 9개 IB가 예상한 한국의 내년 경제성장률은 2%다. 12개 아시아국 중 일본(0.9%) 이어 두 번째로 낮았다. 내년 성장률로 비교해 봐도 ‘아시아의 4마리 용’으로 함께 불리던 홍콩(3.3%), 대만(2.6%), 싱가포르(2.3%)에 밀리는 모습이다. 신흥국 베트남(6.8%), 인도(5.8%), 필리핀(5.5%), 인도네시아(5%) 등에는 한참 못 미친다.

반전의 기회를 찾기 쉽지 않다는 게 문제다.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 수출 부진, 에너지 수입으로 인한 적자 누적, 여전히 높은 물가와 금리, 부동산 경기 하강, 소비 부진까지. 한국 경제를 가로막고 있는 장애물이 한가득하다. 저출생 고령화와 맞물려 저성장이 깊게 뿌리내릴 위험도 커지고 있다.

지난 2일 한국경제학회 주관으로 열린 ‘경제학 공동학술대회’에서도 나온 지적이다. 이날 이종화 한국경제학회장(고려대 경제학과 교수)은 지금의 저출생 현상이 지속한다면 2050∼2060년 연평균 GDP 증가율은 0.9%에 그친다는 내용의 논문을 발표했다.

6일 서울 시내의 한 저축은행에 설치된 예·적금 금리 현황판. 연합뉴스

6일 서울 시내의 한 저축은행에 설치된 예·적금 금리 현황판. 연합뉴스

김경수 성균관대 경제학과 교수는 “다른 나라에 비해 과도하게 많은 민간 부채가 고금리 국면에서 자산 디플레이션(가치 하락)으로 이어지면서 내수 측면에서 활로 찾기가 어려운 상황”이라며 “수출 역시 그동안 반도체 등 특정 품목 의존 현상이 심해진 탓에 최근 타격을 더 입고 있다”고 평가했다.

장용성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한국이 선진 국가 반열에 오르기 시작하면서 성장 속도가 예전과 달리 느려질 수밖에 없겠지만 미국 등 다른 선진국 사례와 비교하더라도 연 2%도 안 되는 성장률은 문제”라며 “노동시장 이중 구조, 저출생 등 구조적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저성장이 고착화할 위험이 있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