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전시장 바닥 뚫고, 비둘기도 풀고…미술계 침입자 카텔란, 리움 접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0면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각 작품은 익살스럽고 냉소적인 연극의 장면들 같다. 사진은 ‘무제’(2001). 이은주 문화선임기자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각 작품은 익살스럽고 냉소적인 연극의 장면들 같다. 사진은 ‘무제’(2001). 이은주 문화선임기자

2019년 미국 마이애미에서 열린 ‘아트바젤 마이애미’에서 테이프로 벽에 붙인 바나나 한 개가 12만 달러(약 1억4000만원)에 팔렸다. 작품 제목이 ‘코미디언’이다. 바나나 한 개로 시작된 ‘코미디’는 그것으로 끝나지 않았다. 한 행위예술가가 “배가 고프다”며 바나나를 떼어 먹어버렸고, 해당 갤러리 측은 “그가 작품을 파괴한 게 아니다. 바나나는 발상”이라며 벽에 새 바나나를 붙였다. 바나나는 이듬해 한 소장자의 기증으로 미국 뉴욕 구겐하임미술관에 소장됐다. 이 기상천외한  ‘코미디언’의 쇼는 지금도 충실하게 이어지고 있다. 이번엔 서울 리움미술관이다.

세계에서 가장 논쟁적인 현대미술가로 꼽히는 마우리치오 카텔란(62)의 한국 첫 개인전이 지난달 31일 서울 리움미술관에서 개막했다. 그가 바로 바나나 한 개로 세상을 떠들썩하게 한 주인공이다. 이번 전시는 2011년 미국 구겐하임 미술관에서 열린 회고전 이후 최대 규모로, 조각·설치·벽화·사진 등 총 38점의 작품을 선보인다.

‘찰리는 서핑을 안 하잖나’(1997). 청소년이 겪는 경쟁과 폭력, 좌절감을 떠올리게 한다. 이은주 문화선임기자

‘찰리는 서핑을 안 하잖나’(1997). 청소년이 겪는 경쟁과 폭력, 좌절감을 떠올리게 한다. 이은주 문화선임기자

카텔란 전시를 기획한 김성원 리움미술관 부관장은 “4년 전 바나나 한 개가 비싸게 팔린 이유는 작가가 바로 카텔란이었기 때문이었다”며 “작가는 이 작품을 통해 작업을 어떻게 해야 유명해지는지, 작품 가격이 어떻게 형성되고 판매되는지 등 현대 미술시장의 적나라한 현실을 보여줬다”고 말했다.

아니나 다를까. 카텔란은 한국 최고 권위의 사립미술관 리움도 그냥 두지 않았다. 미술관 입구와 로비 기둥 옆에 ‘노숙자’ 두 명을 배치했다. 이름은 ‘동훈과 준호’. 그의 설치작품이다. 자신의 전시를 알리는 로비 표지판 위에 박제된 비둘기 수십마리(‘유령’)를 앉혀 놨다. 전시장 안에선 한술 더 떴다. 곳곳에 박제 비둘기 100여 마리를 흩어 놓았고, 바닥을 뚫고 나온 남자(‘무제)’를 보여주기 위해 멀쩡한 바닥을 진짜로 뚫게 했다. 김 부관장은 “작가가 미술관 로비를 지하철역 앞 광장처럼 만들고 싶어했다”고 전했다.

운석에 맞아 쓰러진 교황을 표현한 ‘아홉 번째 시간’(1999). 이은주 문화선임기자

운석에 맞아 쓰러진 교황을 표현한 ‘아홉 번째 시간’(1999). 이은주 문화선임기자

특유의 유머와 풍자로 온갖 ‘권위’에 물음표를 다는 카텔란의 작업은 여기서부터 시작됐다. 미술관의 의미와 역할을 돌아보라는 작가의 의도로 읽힌다.

카텔란은 이탈리아 파도바 출신이다. 정규 미술 교육을 받지 않고 여러 직업을 전전하다가 미술계에 들어온 그는 자신을 “미술계의 침입자”라 부른다. 전형적인 ‘미술’과 ‘작가’라는 통념 안에 자신을 가두지 않겠다는 의지의 표현이기도 하다.

전시장엔 작가 자신의 얼굴을 한 작품이 많다. 개인적인 이야기에서 출발해 관객의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특유의 전략이다. 세발자전거를 타고 전시장을 누비는 ‘찰리’, 벽을 바라보고 책상 앞에 앉은 소년(‘찰리는 서핑을 안 하잖나’)도 어린 시절 자신의 모습이다.

로비에 설치된 노숙자 조각. 이은주 문화선임기자

로비에 설치된 노숙자 조각. 이은주 문화선임기자

섬뜩해 보이는 작품도 눈에 띈다. ‘찰리는 서핑을 안 하잖나’가 그중 하나다. 언뜻 보면 열심히 공부하는 듯한 소년의 뒷모습인데, 가까이 보면 그의 두 손등은 연필로 찍혀 있다. 작가의 의도가 무엇인지를 관람객은 각자 유추해야 한다. 이 밖에 운석에 맞아 쓰러진 교황을 표현한 ‘아홉 번째 시간’, 공손히 무릎 꿇은 히틀러 얼굴의 작품 ‘그’ 등은 이미 세계에서 논쟁을 불러일으킨 작품들이다.

‘죽음’이라는 주제에 대한 각별한 관심도 엿보인다. 비둘기와 말 등 전시장에 놓인 많은 박제 동물은 그 자체로 끊임없이 죽음을 환기시킨다. 죽은 듯이 누워 있는 사람 곁에 같이 누워 있는 강아지를 표현한 조각 ‘숨’, 여러 사람이 함께 목숨을 잃은 비극을 연상케 하는 대리석 조각 ‘모두’ 등도 있다. 김 부관장은 “다소 무례하고, 뻔뻔하고, 불편하지만 그런 삶의 모습을 과감하게 드러내 마주하게 하는 게 카텔란 작업의 특징”이라고 말했다.

작가는 한국에 왔으나 기자들을 만나지는 않았다. 관객과의 만남(아티스트 토크)도 열지 않는다. 김 부관장은 “그는 관람객에게 ‘절대 아티스트의 얘기를 듣지 말라’ ‘당신이 본 것을 토대로 스스로 해석하라’고 주문한다”며 “그는 자기 작업이 열띤 토론의 시작이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리움미술관은 2004년 개관 당시 마리오 보타, 장 누벨, 렘 쿨하스 등 세계적인 건축가 3인이 설계해 화제를 모았다. 이번 전시는 그중에서도 장 누벨이 설계한 M2 공간을 고스란히 보여준다는 점에서 특히 주목할 만하다. 카텔란 전시를 위해 리움은 모든 가벽을 걷어내고 작품을 배치했다. 월 휴관, 사전예약 필수. 전시는 7월 16일까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