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50~60%대 유지해온 중산층, 다음 세대엔 줄어들 듯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2면

국내 중산층 비중과 경제력이 최근 10여년간 꾸준히 유지·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다음 세대가 중산층으로 진입할 수 있다는 기대는 점차 낮아지고 있다.

31일 한국개발연구원(KDI) 이영욱 연구위원은 이런 내용의 ‘우리나라 중산층의 현주소와 정책과제’ 보고서를 발표했다. 중위소득 50~150% 인구를 기준으로, 국내 중산층은 2011~2021년 전체 인구의 50~60% 선에서 유지되거나 늘어나는 양상이 나타났다. 중위소득 75~200%를 중산층으로 보는 국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한국 중산층 비율은 61.1%다. OECD 평균(61.5%)과 거의 비슷하다.

이영욱 연구위원은 “2000년대 중반 이후로 중산층 비중이 유지·증가하는 추이가 뚜렷하다”며 “대·중소기업 등 노동시장 내 임금 격차가 크게 벌어지지 않고, 정부의 이전지출(실업수당·보조금 등 대가 없는 현금성 지원)도 확대된 영향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국민이 자신을 중산층으로 인식하는 비중도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사회경제적 지위가 ‘상·중·하’ 중에서 중간에 속한다고 응답한 비율(통계청 사회조사)은 2013년 51.4%에서 2021년 58.8%로 올랐다.

반면 계층이동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은 크게 낮아지고 있다. ‘노력하면 개인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아질 가능성’이 높다는 응답 비율은 2011년 28.8%에서 2019년 23%로 감소했다. 자녀 세대의 지위가 높아질 가능성이 높다는 비율도 2011년 41.7%에서 2021년 30.3%로 떨어졌다. 보고서는 중산층 강화 방안으로 중년·고령층이나 자녀를 키우는 여성 배우자의 취업 장애물을 해소하는 정책적 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