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분수대

진주 어른 김장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9면

이경희 기자 중앙일보 P디렉터
이경희 이노베이션랩장

이경희 이노베이션랩장

김장하(79) 전 남성문화재단 이사장은 가방끈이 짧다. 중학교를 졸업하고 한약방 머슴살이를 했다. 해방 후 처음 실시한 한약사 국가 자격시험에 통과해 19세에 남성당한약방을 차린다. 약가는 낮은데 좋은 재료를 써 효험 좋았던 터라 전국에서 손님이 몰린다. 그는 20년간 모은 돈으로 1983년 경남 진주에 명신고등학교를 세우고, 잘 키운 뒤 1991년 국가에 헌납한다. 100억원이 넘는 자산이었다. 1990년 창간한 옛 진주신문에는 월 1000만원에 달하는 적자를 10년간 보전해줬다. 토호세력이 겁 없이 설치지 않도록 언론이 제 역할을 해야 한다는 믿음에서다. 그는 지난해 60년간 운영해온 한약방 문을 닫았다. 남성문화재단의 남은 자산 34억원도 경상국립대에 기증했다. 그러나 자신을 내세우는 인터뷰는 일절 거절했다.

김주완 전 경남도민일보 기자도 1991년 인터뷰에 실패했다. 그는 2021년 은퇴 후 MBC경남 김현지 PD와 함께 30년 전 실패한 작업에 다시 도전한다. 주변 인물 100명을 인터뷰하면서 선생의 발자취를 따라간 것이다. 최근 화제가 된 다큐멘터리 ‘어른 김장하’가 탄생한 배경이다. 김장하 선생은 명신고 재학생 외에도 형편이 어려운 학생들의 등록금과 생활비를 대학 때까지 군소리 없이 지원했다. 수많은 ‘김장하 키즈’를 길러냈으나 “나는 사회에 있는 걸 준 것이니 갚아야 한다고 생각한다면 사회에 갚아라”고 했다. 대학 가서 공부 안 하고 데모를 해 죄송하다는 이에겐 “그 역시 국가를 위해 봉사하는 일”이라며 격려했다. 장학금을 받고도 특별한 인물이 못 돼 죄송하다는 이에겐 “우리 사회는 평범한 사람들이 지탱한다”고 말한다.

진주는 ‘저울처럼 평등’하다는 뜻의 형평운동이 시작된 곳이다. 1923년 백정 신분제 철폐를 필두로 모든 인간의 사회적 평등을 주창했다. 선생은 형평운동기념사업회 초대 이사장을 지냈다. 호주제 폐지에 앞장서고 가정폭력 피해자 쉼터 건립을 후원하는 등 형평운동의 정신을 이어왔다. 남들에겐 언제든 도움의 손길을 내밀었지만, 자신은 단벌 신사에 뚜벅이로 평생을 살았다. 선생은 “돈은 똥과 같아 쌓아두면 악취가 진동하지만 흩뿌리면 거름이 된다”고 말한다. 진주의 ‘아낌없이 주는 큰 바위 얼굴’이 연초부터 주는 울림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