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불경기에 금리인상...주요 시중은행 연체율 오를 일만 남았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주택담보대출 등 시중은행의 주요 대출 상품 연체율이 상승세다. 한국은행의 가파른 기준금리 인상 여파로 시중은행에서 돈을 빌린 기업과 개인이 점점 한계에 내몰리고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KB국민ㆍ신한ㆍ하나ㆍ우리ㆍNH농협은행)의 지난해 12월 기준 가계 및 기업대출 연체율 평균은 3개월 전인 9월 대비 모두 상승했다.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 평균은 12월 0.28%로, 9월(0.23%) 대비 0.05%포인트 상승했다. 개인사업자 대출 연체율 평균은 같은 기간 0.18%에서 0.24%로 0.06%포인트 올랐고, 대기업 대출 역시 0.01%에서 0.02%로 증가했다.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개인 대출자들 상황도 비슷했다.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연체율 평균은 지난해 9월 0.16%에서 12월 0.19%로 0.03%포인트 상승했다. 이중 주택담보대출이 같은 기간 0.12%에서 0.15%로 0.03%포인트, 신용대출은 0.24%에서 0.28%로 0.04%포인트 각각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12월 전체 연체율 변화를 살펴보면 하반기 들어 상승세로 바뀌더니 연말에 오름 폭이 확대됐다. 개인사업자 대출 연체율은 지난해 1월 0.16%, 3월 0.15% 6월 0.15% 등으로 큰 변화가 없다가 9월 0.18%로 반등한 뒤 12월 0.24%까지 올랐다.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 역시 1월 0.23%, 3월 0.22%, 6월 0.20%로 하락한 뒤 9월 0.23%, 12월 0.28%로 상승했다. 연체율 증가 폭은 아직 낮은 수준이지만 상승세가 본격화하고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한 시중은행 부행장은 “보통 은행은 분기 말과 연말 기준 연체율을 최저로 낮추기 위한 노력을 많이 해 낮게 나오는 경향이 있다”며 “그러나 지난해의 경우 개인사업자 등을 중심으로 연말 연체율이 연초보다 많이 올라갔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연체율 상승은 지난해 글로벌 경기 둔화 및 고금리와 고환율, 고물가 등 3고(高) 여파로 파악된다”며 “올해 연체가 많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돼 주요 은행들이 건전성 관리에 심혈을 기울이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발생 이후 정부가 자영업자 등을 대상으로 각종 자금을 지원했지만 더 이상 고금리에 따른 빚 부담을 상쇄하긴 힘들어진 거란 분석도 나온다.

앞서 한국은행은 2021년 8월부터 올해 1월까지 10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끌어올렸다. 0.50%였던 기준금리는 3.50%로 3%포인트 높아졌다. 한은에 따르면 예금은행 대기업대출(가중평균ㆍ신규취급액 기준)과 중소기업 대출 금리는 지난해 1월 2.29%포인트(3.03%→3.52%), 12월 2.24%포인트(5.32%→5.76%) 상승했다.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0.79%포인트(3.85%→4.64%), 신용대출 금리는 2.69%포인트(5.28%→7.97%) 올랐다.

문제는 올해도 고금리 기조가 유지되면서 자영업자를 중심으로 빚 부담이 심화할 수 있다는 점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지난해 11월 내놓은 ‘금리 인상에 따른 민간부채 상환 부담 분석’ 보고서에서 올해 민간부문 대출이자 부담이 지난해보다 33조6000억 원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여기에 올해는 경기 침체의 그림자마저 짙어지고 있다. 지난해 4분기 경제성장률은 -0.4%로, 2년 6개월 만에 역성장을 기록했다. 수출 부진에 민간 소비까지 얼어붙으면서 올해 성장률 역시 정부 전망치인 1.6%에도 못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향후 대출금리는 오르는데 기업과 자영업자의 매출은 줄어든다면 은행 대출 연체율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 이는 금융회사의 재정 건전성 악화로 이어질 수도 있다.

안동현 서울대 경제학과 교수는 “경기가 둔화하는 국면에서 기준금리를 올렸기 때문에 소득은 줄고 갚아야 할 이자는 높아지니 당연히 연체율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며 “경기 침체 현상이 좀 더 뚜렷해지고 대출금리가 더 오른다면 취약계층뿐 아니라 중산층에게도 이자감면이나 대출 연장 등 금융지원을 해 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