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인덕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석좌교수
“대북 방송과 전단은 우리의 강력한 비대칭 전략 자산이다.”
김대중 정부 시절 초대 통일부 장관을 지낸 강인덕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석좌교수(92·사진)가 지난달 발간한 회고록 『한 중앙정보 분석관의 삶』에서 “이제는 북한에 대해 합리적이고 논리적이며 적극적인 심리전을 전개할 때”라며 이같이 강조했다. 1970년대 중앙정보부에서 북한정보국장, 심리전 국장 등을 거친 강 전 장관은 대북 심리전 관련 최고 전문가로 꼽힌다. 그는 1980년부터 18년 동안 KBS의 사회교육방송 ‘노동당 고급 당간부들에게’ 등 최소 5000회에 걸쳐 대북 방송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외부 소식에 어둡던 북한 주민들은 그의 방송을 듣고 동요했다. 실제 1983년 2월 미그-19 전투기를 몰고 귀순한 북한 공군 조종사인 이웅평 상위는 강 전 장관과 만나 “김일성 연설이나 노동당의 문헌을 갖고 북한의 현실을 적나라하게 비판하는 남한 방송을 듣고 진실을 깨닫고 귀순했다”고 말했다고 한다.
강 전 장관은 “지금이야말로 자유와 민주주의, 인권과 법, 시장 원리 등 보편적 가치를 바탕으로 적극적인 심리전을 재개할 때”라고 강조했다. 그는 “문재인 정권은 대북 유화 정책이 마치 평화의 길인 듯 착각해 대북전단살포금지법(남북관계발전법 개정안)을 만들었다”며 “북한의 군사적 위협은 우리의 군사작전으로 방어하면 될 일이며 이제는 그런 ‘수세적 자세’는 버려야 한다”고 지적했다.
강 전 장관은 북한이 1960년대 말부터 미국을 압박하기 위해 핵·미사일 개발에 박차를 가했다는 정황도 전했다. 그는 1977년 중앙정보부에서 직접 심문했던 노동당 연락부(대남 공작 담당 부서)의 ‘거물급’ 간첩을 인용해 “1968년 김일성이 함흥 현지 지도에서 ‘아직까지 본토에 포탄 한 발도 떨어져 본 적이 없는 미국이 (북한의) 포탄 세례를 받으면 어떻게 되겠는가. 미국 내에서 반전 운동이 거세게 일어나고 미국도 남조선에서 손을 떼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강 전 장관은 “지난 50여년의 남북 대화에서 얻은 교훈은 북한에 대한 싸움에는 힘으로 대응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강 전 장관은 2019년 탈북 어민 강제 북송 사건과 2020년 서해 공무원 피살 사건 관련 박지원, 서훈 전 국정원장이 연루된 데 대해 “20여년 전 김정일이 시도했던 국정원의 약화, 해체 공작이 후대인 김정은 시대에 실현된 셈”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