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기술로 인파 위험 관리…현장 인파관리시스템 연내 구축

중앙일보

입력

새해 업무보고를 마친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이 27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통일부,행안부,국가보훈처, 인사혁신처 합동브리핑에서 2023년 행안부 중점 과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새해 업무보고를 마친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이 27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통일부,행안부,국가보훈처, 인사혁신처 합동브리핑에서 2023년 행안부 중점 과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휴대전화 위치신호 데이터 등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으로 인파 밀집 위험을 미리 분석해 대응하는 현장인파관리시스템이 올해 도입된다. 지난해 10월 이태원 참사를 계기로 안전시스템을 전면 개편해 새로운 형태의 위험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기 위함이다.

행정안전부는 27일 오전 청와대 영빈관에서 이같은 내용의 범정부 국가안전시스템 개편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이상민 장관은 "이태원 참사를 계기로 안전시스템을 전면 개편해 새로운 형태의 위험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고 현장에서 실제 작동할 수 있는 재난안전관리 체계를 마련하는 데 중점을 뒀다"고 말했다.

행안부는 인파사고를 자동으로 예측하는 ICT(정보통신기술) 기반 현장인파관리시스템’을 올해 서울, 부산 등 대도시에서 시범 운영한다. 이후 전국으로 확대한다.

ICT를 활용한 현장인파관리시스템을 연내에 구축해 유동인구 정보(기지국, 대중교통 데이터), CCTV 영상분석을 바탕으로 밀집도를 모니터해 위험이 감지되면 소방과 경찰에 전파하고 해당 지역에는 재난문자로 상황을 알린다.

단계적으로 인공지능(AI)에 기반을 둔 전조 감지, 112 신고 연계, 이상행동 인식 추적 등 고도화 작업을 추진한다. 1시간 내 반경 50m 이내 3건 이상 반복 신고 시 112시스템에 자동 표출하는 112 반복신고 감지시스템을 도입하고, 112·119 영상신고도 활성화해 신고 영상을 기관 간에 공유한다.

모든 지자체 CCTV는 2027년까지 AI를 접목한 지능형 CCTV로 전환해 이상징후 자동감지, 영상 자동분석 등으로 위험 상황을 관리하도록 한다. 현재 지자체 CCTV 53만대 가운데 지능형은 13만대(24%)다.

아울러 행정안전부 장관에게 있는 재난사태 선포 권한이 시·도지사에게도 부여된다. 이에 따라 재난사태를 선포한 시·도지사는 경찰·소방을 지휘하고 통제할 수 있다.

2027년까지 모든 기초지방자치단체는 24시간 상황실을 운영하게 된다. 또한 모든 지자체 CCTV를 지능형으로 업그레이드해 CCTV 영상을 재난 예방에 활용한다.

행안부는 이를 통해 ‘인구 10만명당 재난·안전 사고 사망자 수’를 현재(2019년) 26.2명 수준에서 2027년까지 20명 이내로 줄이겠다는 방침이다.

이 기사 어때요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Innovation La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