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3040, 부모보다 빨리 늙을 것" 서울아산 교수가 내놓은 증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노인 이미지. 셔터스톡

노인 이미지. 셔터스톡

지금의 30,40대가 부모 세대보다 더 빨리 노쇠해지는 첫 세대가 될 것이라는 경고가 나왔다. 3040을 둘러싼 환경이 이들의 노화를 앞당기는 '가속 노화'에 노출돼 있기 때문이다.

 정희원 서울아산병원 노년내과 교수는 26일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이 개최한 ‘노인 건강 관리 정책 방향’ 원탁회의에서 한국 노년기 건강관리 정책의 문제점과 대안을 공개했다.

정 교수는 “숫자 나이와 생물학적인 신체 나이는 일치하지 않는다”라며 “뭘 먹고, 어떤 생각을 하느냐에 따라 노화속도가 달라진다”라고 설명했다. 가속 노화는 나이보다 신체 노화 정도가 빨리 진행되는 경우를 말한다. 정 교수는 "젊은 시기의 가속 노화는 장년기의 만성 질환과 노년기의 기능 저하를 앞당기는 주요한 원인이 된다"며 "3040세대를 비롯한 '젊은 성인'의 가속 노화가 미래의 의료이용과 돌봄 수요를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정 교수는 이날 발표에서 한국 사회의 여러가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30, 40대를 포함한 성인들의 가속 노화를 초래한다고 설명했다. 긴 출퇴근 시간, 불안정한 커리어, 재정 악화, 거주지 불안 등의 일반적 스트레스가 기본이다. 여기에다 가공식품이나 초가공 식품에 상시 노출돼 있다. 초가공식품은 식품첨가물 함량이나 당도가 매우 높고, 원재료를 알기 어려운 가공식품을 말한다. 과자·소시지 등이 대표적이다.

 중독성을 높이는 플랫폼 경제에 노출돼 뇌가 휴식을 취하지 못한다. 유투브·넷플릭스·틱톡 등의 비디오 사이트를 과도하게 사용하면서 수면을 박탈당하는 때가 많다. 수많은 사회관계망 서비스(SNS), 쇼핑 플랫폼을 이용한다.

 자신이 가진 것을 자랑하고 못 가진 것에 분노하면서 만성적인 스트레스 수준이 높아진다. 디지털화 등의 업무 고도화를 따라잡기 어렵고 메신저·이메일로 상시적으로 업무와 관련된 연락에 시달려 마음을 다스리기가 더욱 어렵다고 지적했다.

 정 교수는 2020년 질병관리청의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3040세대의 가속 노화의 간접적 근거로 제시했다. 이 조사에 따르면 30대 남성의 58.2%, 40대 남성의 50.7%가 비만이다. 40대 남성의 고혈압 유병률(31.5%)은 98년 이 조사 시작 이후 가장 높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3040은 고혈압·당뇨병 등의 인지율이나 치료율이 50% 미만이다.

정 교수는 가능한 한 젊은 시기부터 자연스러운 신체활동과 운동·금연·절주, 절제된 식사, 마음 챙김, 스트레스 관리, 회복 수면, 영적 건강 등으로 만성질환을 예방하고 노화 속도를 늦춰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러면 70대 중반까지 초기 노년기에 장기 노화가 덜 진행되고 질병·약 노출이 적으며 일상생활에서 근육을 사용하게 된다고 덧붙였다. 이렇게 해야 성공적인 노화로 이어지고, 궁극적으로 노쇠를 예방할 수 있다고 한다.

정희원 서울아산병원 노년내과 교수

정희원 서울아산병원 노년내과 교수

정 교수는 전문과목별로 질병에 접근하는 '인클로저 운동(울타리 치기)' 같은 의료시스템의 한계를 지적했다. 사람을 두부 썰 듯 쪼개려는 시도라는 것이다. 대표적인 예로 전 정부에서 시작된 치매국가책임제를 들었다. 정 교수는 "이 제도가 정신건강의학과나 신경과 의사가 아니면 치매 환자를 진료하기 어렵게 만들었다"고 비판했다.
질병 중심의 울타리 치기는 중증질환·희귀질환 등의 특정 진단명을 가진 환자에게 혜택이 돌아가고, 여기에서 배제된 환자와 진료과의 의사를 모두 어렵게 한다는게 정 교수의 지적이다. 그는 "의사들이 노화 예방과 관련 개별 질환 치료에만 매달리고 방송 매체들도 걷기, 소식, 단백질 먹기만 일률적으로 얘기한다"라며 "(방송에서)근력 강화, 마음 건강 등을 포함한 통합적인 노쇠 예방 얘기를 하면 편집된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정 교수는 "큰 그림을 보지 못하고 이곳 저곳에 작은 것들을 채우고 있다. 사람은 없고 질병만 존재하는 식"이라며 "아무리 노쇠 정도가 높고 복잡해도 중증이 아니면 정부의 심층진찰사업 같은 정책 대상에 들지 못한다"고 말했다.

그는 "노쇠가 진행된 노인은 여러가지 질병과 기능 저하가 섞여 있으며, 돌봄 요구가 점진적으로 증가한다. 진단명과 이에 따른 전문의사의 분절적 진료로는 지속할 수 없는데 이런 시스템이 유지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정 교수는 "지속 가능한 의료와 복지를 유지하려면 젊은 성인과 노인 통합적 건강관리가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