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금난' 트위터, 빚 갚으려 증자하나…머스크는 "NO"

중앙일보

입력

일론 머스크와 트위터 엠블럼. 로이터=연합뉴스

일론 머스크와 트위터 엠블럼. 로이터=연합뉴스

자금난을 겪는 트위터가 부채 상환을 위해 3조원 규모의 자금 조달을 추진한다는 보도가 나왔다. 하지만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해당 보도에 대해 ‘사실무근’이라는 뜻을 밝혔다.

25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소식통을 인용해 머스크의 대리인들이 지난해 12월에 최대 30억 달러(약 3조7000억원) 규모의 증자를 논의했다고 보도했다. 트위터의 자금줄을 옥죄는 고금리 부채 일부를 갚기 위한 목적에서다.

지난해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고강도 통화 긴축 여파로 금리가 올라가며 트위터의 이자 상환 부담도 커졌다. 머스크는 지난해 10월 트위터를 440억 달러(약 54조원)에 인수하면서 차입매수 방식으로 자금을 조달했는데, 이때 트위터는 부채 130억 달러(약 16조원)를 떠안았다. 특히 부채 중 일부에는 연 4%대 금리에 연 10%대의 가산금리가 붙었다고 한다.

데이터 제공업체 이너섹션 창업자인 제프리 데이비스는 최근 트위터의 총 이자 비용이 연간 12억5000만 달러에 이를 것이라고 추산했다. 매일 약 340만 달러를 이자로 지출하는 셈이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25일(현지시간) 테슬라의 증자 추진설이 사실이냐고 묻는 질문에 "NO(아니)"라는 답을 남겼다. 트위터 캡처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25일(현지시간) 테슬라의 증자 추진설이 사실이냐고 묻는 질문에 "NO(아니)"라는 답을 남겼다. 트위터 캡처

이날 머스크는 증자를 통해 자금을 모으려 했다는 보도를 일축했다. WSJ 기사의 진위를 묻는 글이 트위터에 올라오자 머스크는 “NO(아니다)”라고 답했다. 트위터 측은 별도의 공식 해명을 내놓지 않았다.

다만 트위터의 자금 흐름이 안 좋다는 점은 머스크 본인도 전부터 인정했던 사실이다. 트위터 인수 직후인 지난해 11월 임직원들과 첫 만남에서 머스크는 자금 사정이 어렵다며 파산 가능성까지 언급했다.

실제로 머스크는 트위터를 인수한 직후부터 강도 높은 비용 절감을 해왔다. 지난해 11월에 트위터 직원 7500명 중 절반 가까이인 3700명에게 정리해고 e메일을 발송했다. 트위터를 인수한 지 일주일만의 일이다. 또 청소 용역 업체와 계약을 파기하고 화장실의 휴지를 없애는 등 극단적인 비용 절감으로 직원들의 불만을 사기도 했다.

트위터의 자금난에는 매출의 90%를 차지하던 광고 수입이 급감한 영향도 있다. 최근 로이터통신이 인용한 스탠더드 미디어 인덱스(SMI) 분석에 따르면 트위터의 지난해 12월 광고 매출은 전년 동월 대비 71% 급감했다. 연말 수요를 겨냥해 기업들이 광고를 크게 늘리는 특수 효과도 트위터는 누리지 못했다는 의미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Innovation La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