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완벽히 막으려면 비용이…북 드론 대응 딜레마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드론전쟁

드론전쟁

드론전쟁

“사람도 타지 않은 무인기에 웬 경고방송을 합니까. 드론 같은 저(低)가치 표적을 잡겠다고 값비싼 AWACS(공중조기경보통제기)를 계속 돌릴 수도 없죠.”(이세환 ‘샤를의 군사연구소’ 소장)

북한은 2014년 이후 수차례 정찰용 무인기를 한국에 보냈습니다. 오세진 파인브이티 로보틱스연구소장은 “계절별 풍향·온도에 따라 달라지는 ‘최적의 하늘길’을 체크하는 것 같다”고 분석했습니다. 북한은 ‘한국 정치 분란’이란 효과도 덤으로 노렸습니다.

북한이 무인기(드론)를 보유하기 시작한 건 2012년부터라고 합니다. 여러 미국의 정책연구소 분석에 따르면 2010년 4개국에 불과했던 드론 보유국은 2016년 26개국, 2020년엔 39개국으로 급격히 늘어났습니다. 세계 각국이 드론의 군사적 효용을 체감하며 드론 확보에 열을 올렸습니다.

오세진 소장

오세진 소장

비슷한 시기 중국도 드론 확보에 적극적으로 나섰습니다. 2010년대 이후 중국은 세계 드론시장의 70%를 차지하는 ‘드론 강국’으로 성장했습니다. 군용 드론시장에서 중국은 미국, 이스라엘에 이어 수출 3위국으로 성장했죠. 중국은 민간 드론시장도 꽉 잡고 있습니다. 시장 점유율이 70%쯤 됩니다. 반군·테러 단체들이 이라크·시리아 내전이나 아프가니스탄 등에서 ‘DJI’ 같은 중국 민간 드론을 즐겨 사용했습니다. 오세진 소장은 “가격 경쟁력, 끊임없는 성능 고도화, 뛰어난 구매 접근성 덕에 중국 드론은 반국가 단체나 중동 국가들에 매력적”이라고 했습니다.

북한도 중국 드론을 수입한다고 합니다. 물론 중국은 공식적으론 팔지 않았다고 하죠. 미국·러시아·중국 드론을 베껴 자체 생산하는 북한은 약 500~1000대의 무인기를 보유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앞으로 정찰용이 아니라 살상용 무기를 실은 무인기를 한국에 내려보낼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런 북한의 드론 위협에 맞서 한국이 풀어야 할 숙제는 ‘탐지’와 ‘요격’입니다. 하지만 아직 어려움이 많습니다. 육군 1군단이 운용하는 ‘국지 방공레이더’는 기본적으로 중형 헬리콥터 이상만 탐지하는 레이더입니다. 최근 침투한 북한 무인기를 탐지할 만큼 성능을 업그레이드하고 있지만, 아직 효과적이지 않습니다.

이세환 소장

이세환 소장

수도방위사령부가 운영하는 ‘드론 테러 방어용 레이더(SSR)’는 작은 드론을 찾아낼 수 있습니다. 이번 북한 무인기도 탐지했죠. 하지만 SSR은 탐지거리가 짧습니다. 김민석 중앙일보 군사안보연구소 선임위원은 “설령 개발돼도 값비싼 탐지 레이더를 대한민국 전역에 다 깔아 놓는 건 예산 낭비”라고 말합니다.

‘요격’도 넘어야 할 산이 많습니다. 이세환 소장은 “이번 북한 무인기에 20㎜ 기관포로 대응 사격한 코브라 헬기는 공대공 표적에 대한 자동추적장치가 없는 지상 표적용 무기”라고 했습니다. 우리 군이 준비가 안 돼 있었다는 것이죠.

드론 대응 수단으론 미사일 발사, 재밍(jamming·전파 교란), 레이저 요격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드론 하나 잡겠다고 값비싼 미사일이나 포를 쏠 순 없습니다. 재밍 장비(재머)도 예산 문제로 주요 지역에 모두 배치할 수도 없습니다. 그나마 레이저 요격이 현실적인 대안입니다. 우리 군도 2014년부터 레이저 요격 체계를 준비해 올해 완성된다고 합니다. 하지만 재머와 마찬가지로 레이저 요격 장비를 국토 전역에 깔긴 어렵다는 난점이 있습니다. 또 수십 대가 한꺼번에 날아드는 군집 드론 공격엔 한계가 있죠.

우리 군은 ‘한국형(K) 아이언돔’ 조기 전력화뿐 아니라 이스라엘 ‘스카이 스포터(Sky Spotter)’ 등 해외 감시장비 도입을 더 적극적으로 검토 중이라고 합니다. 또 ‘합동드론사령부’ 창설 이야기도 나오지만, 조직 개편이 근본적인 해법이 될 순 없을 겁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