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바이든, 공석 6년 만에 북한인권특사 지명…'한국어 능통' 줄리 터너

중앙일보

입력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간) 줄리 터너 북한인권특사를 지명했다. 사진은 2018년 터너 지명자가 국무부 페이스북 실시간 중계로 탈북민을 인터뷰하는 장면. [페이스북 캡처]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간) 줄리 터너 북한인권특사를 지명했다. 사진은 2018년 터너 지명자가 국무부 페이스북 실시간 중계로 탈북민을 인터뷰하는 장면. [페이스북 캡처]

미국 정부가 2017년 이후 6년여간 공석이었던 국무부 북한인권특사를 지명했다. 백악관은 23일(현지시간) 성명을 통해 조 바이든 대통령이 국무부 소속 외교관인 줄리 터너를 대사급인 북한인권특사에 지명했다고 밝혔다. 북한 인권 문제를 중시하겠다는 바이든 행정부의 선명한 대북 메시지로 풀이된다.

터너 지명자는 현재 국무부 민주주의·인권·노동국에서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과장을 맡고 있다. 그 전에는 도널드 트럼프의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에서 동남아시아 담당 국장을 역임했다.

백악관은 터너 지명자가 국무부 민주주의·인권·노동국에서 16년을 근무했으며, 주로 북한 인권 증진과 관련된 업무에 초점을 맞춰왔다고 설명했다. 북한인권특사 사무실에서 특별 보좌관을 맡기도 했다.

국무부 민주주의·인권·노동국은 2017~2018년 탈북 주민 인터뷰 영상 '인권 영웅들' 시리즈를 통해 탈북 여성 지현아 씨, 이현서 씨 등을 인터뷰했다. 터너 지명자는 북한 인권 문제와 관련해 한국 정부와 실무급에서 오랜 기간 협의한 경험도 있다.

백악관에 따르면 터너 지명자는 캘리포니아주 페퍼다인대에서 학사 학위를, 메릴랜드대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프랑스어와 한국어를 구사한다. 백악관이나 국무부가 공식적으로 밝히지 않았지만, 워싱턴 외교가에서 터너 지명자는 한국계로 알려져 있다.

백악관은 이날 상원에 터너를 비롯한 고위 공직 후보자에 대한 인준 요청서를 보냈다고 밝혔다. 대사직은 대통령이 지명한 뒤 상원 인사청문회를 통과해야 취임할 수 있다.

북한인권특사는 조지 W 부시 정부 때인 2004년 발효한 북한인권법에 근거를 둔 대사급 직책이다. 북한 주민 인권 상황 개선을 포함해 미국 정부의 북한 인권정책 수립과 집행 전반을 관할한다.

부시 전 대통령은 2005년 제이 레프코위츠 초대 북한인권특사를 임명했다.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이 2009년 임명한 로버트 킹 북한인권특사는 2017년까지 7년 넘게 재직했다. 2017년 취임한 트럼프 전 대통령은 북·미 정상회담에 관심을 보이다가 임기 중 북한인권특사를 임명하지 않았다.

바이든 행정부는 출범 직후부터 인권과 민주주의를 외교 정책 전면에 두겠다고 표방했지만 북한인권특사 지명이 늦어지면서 말이 행동을 따르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미국 행정부 내 북한 문제를 다루는 또 다른 고위직인 국무부 대북특별대표는 바이든 취임 첫해인 2021년 임명했지만 북한인권특사는 임기 절반을 넘길 때까지 미뤄졌다.

바이든 대통령은 2021년 5월 문재인 전 대통령과 한·미 정상회담 때 성 김 대북특별대표 지명을 발표했다. 하지만 김 대표가 인도네시아 주재 미국 대사를 겸직하는 것과 달리 터너 특사 지명자는 북한인권 문제에 전념할 것으로 보여 바이든 정부가  북한 인권을 적극적으로 살필 것이란 나온다.

외교부는 이날 "한미 양국은 북한 인권 상황에 대한 심각한 우려를 공유하고 있으며, 정부는 미 국무부 북한인권특사 지명을 계기로 북한 인권 상황 개선을 위한 한미 간 협력을 보다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환영 입장을 냈다.

이와 관련 이신화 북한인권국제협력대사는 지난해 10월 국무부를 방문했을 때 터너 특사 지명자와 만났다면서 "북한 인권 상황에 대해 완전한 인식과 이해를 가진 분으로 앞으로 긴밀히 협력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