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비즈 칼럼] 미래세대에 ‘탄소 빚’ 남기지 않으려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4면

한화진 환경부 장관

한화진 환경부 장관

지난해 구글코리아의 인기검색어 1위는 ‘기후변화’가 차지했다. 지난해 수도권의 기록적인 집중호우와 초강력 태풍 힌남노 등을 겪으며 기후 위기에 대한 관심과 우려가 높아진 것으로 풀이된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는 이러한 이상 기후 현상이 앞으로 더 잦아지고, 피해는 더욱 심각해질 것이라 경고하며, 지구 온도상승을 인류가 감내할 수 있는 한계점인 1.5도(℃ ) 이내로 억제하기 위해 2050년 탄소중립을 달성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국제사회는 기후 위기에 대응해 탄소중립 사회로 빠르게 전환하고 있다.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의 약 90%를 차지하는 130여 개국이 탄소중립을 선언했다. 미국은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을 통해 기후변화 대응에 3690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고, 유럽연합은 고(高)탄소 제품에 관세를 부과하는 탄소국경조정제도를 도입해 탄소무역장벽을 가시화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2050 탄소중립을 선언하며 세계적 흐름에 함께하고 있다. 이제는 국제사회와의 약속을 체계적으로 실천해야 할 시간이다. 환경부는 관계부처와 함께 탄소중립의 책임 있는 실천과 질서 있는 전환이라는 원칙 아래에, 올해는 부문별·연도별 온실가스 감축경로를 반영한 ‘국가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원전과 재생에너지·수소 등 청정에너지를 균형 있게 확대하고, 전기차·수소차 등 무공해차 중심의 수송체계로 전환함과 동시에 폐기물 발생은 줄이고, 재활용을 확대해 나갈 것이다. 온실가스 감축을 잘하는 기업이 시장에서 유리하도록 배출권거래제도를 고도화하고, 기술 혁신을 통해 탄소중립 신산업 분야를 개척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 나갈 것이다.

탄소중립이 실질적인 온실가스 배출량을 영(0)으로 만드는 것이라면, 배출량을 줄이는 것만큼 흡수량을 늘리는 것도 중요하다. 산림, 습지 등 자연 생태계의 탄소 흡수능력을 높이는 ‘자연기반해법’이 최근 국제사회에서 주목을 받는 이유다. 이에 따라 생태계의 탄소흡수 능력을 높이며 흡수원을 확대하기 위한 다각도의 정책을 강구해 나갈 것이다.

기후 위기의 가장 큰 피해자는 우리 미래세대라 할 수 있다. 지난해 서울시의 한 어린이집을 방문했을 때, 아이들이 기후변화와 탄소중립을 이야기하는 모습을 보고 놀라움과 함께 기성세대로서, 환경부 장관으로서 책임을 통감했다.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은 쉽지 않은 도전이지만, 우리와 우리 미래세대를 위해 반드시 가야 하는 길이다. 국민의 관심과 실천, 기업들의 기술혁신에 정부의 좋은 정책이 더해진다면 지속가능한 미래에 한 걸음 더 가까워질 것이다.

한화진 환경부 장관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