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마그밀 있어요?" 약국 대란…갑자기 귀해진 국민 변비약, 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마그밀 파는 약국이나 구입처 아는 분 있나요?”

지난 8일 인터넷 커뮤니티에 사지마비를 앓고 있다는 한 환자가 이런 글을 올렸다. 그는 “변비 때문에 마그밀을 처방받아 먹었는데, 생산이 중단돼 처방이 안 된다”며 도움을 청했다. 10일에도 지역 한 맘 카페에 “마그밀이 다 품절”이라며 파는 약국을 수소문하는 글이 올라왔다. 이 약을 공급하는 삼남제약 홈페이지에도 마그밀 판매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

마그밀은 수산화마그네슘 성분의 제산제다. 그런데 변비를 완화하는 효과가 있어 변비약으로 많이 처방된다고 한다. 민필기 대한약사회 약국이사는“제산제 효과도 있지만, 90% 이상은 변비약으로 쓰인다”라며 “배변 활동에 어려움이 있는 60세 이상 고령층이 주로 처방받는다”고 말했다.

삼남제약의 마그밀. 사진 삼남제약 제공.

삼남제약의 마그밀. 사진 삼남제약 제공.

부작용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임신부와 암환자 등도 많이 찾는다. 숙변을 제거해준다는 이유로 단식인들이 모인 커뮤니티에선 ‘단식 전 필수템(필수 아이템)’으로 불린다. 마그밀은 한 알당 가격이 18원(조제용)으로 저렴한 데다, 보험까지 적용돼 장기 복용 환자가 많다는 게 약국가 얘기이다.

그런데 갑자기 이 약이 귀해진 건 지난해 원료(수산화마그네슘) 공급이 일시적으로 끊긴 탓이다.

삼남제약 관계자는 “지난해 8~9월경 원료를 납품받던 일본 업체로부터 물량을 못 준다는 통보를 받았다”라며 “당시 생산이 1, 2주 정도 중단됐었고, 그 전후로도 생산 물량이 줄었다”라고 말했다. 급히 이스라엘의 새로운 원료사를 확보하면서 생산을 재개한 상태이지만 여전히 수요를 맞추기엔 역부족이란 게 제약사 얘기이다. 이 때문에 수개월 째 품귀 현상이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삼남제약 관계자는 “이 사태가 있기 전에 조제용으로 월 4만~5만병 정도를 생산했고, 이달(1~18일)에도 벌써 5만병을 생산해 내보냈는데 밀린 수량이 워낙 많다”라며 “부족 문제가 완전히 해소되려면 몇 개월은 걸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식품의약품안전처 관계자는 “공급은 재개됐지만 큰 약국 위주로 약이 공급되다 보니 여전히 작은 약국 쪽으로는 못 가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약사회 측이 급한 불을 끄려 전국 2만3000곳 약국의 신청을 받아 수요가 있는 1만4500곳(63%)에 최근 마그밀 1병(1000정)을 일단 뿌린 상태다. 민필기 이사는 “작은 약국은 언제 약이 올지 모르는 응급상황이라 제약사와 협의해 1만5000병을 우선 약사회에 공급해달라고 했고 각 약국에 공급했다”라며 “한 환자가 500~1000알씩 대량 처방해 가는 경우도 간혹 있지만 그런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일반 동네 약국에선 이 물량으로 한, 두 달 정도는 일단 숨통을 틀 수 있을 거로 본다”고 말했다.

마그밀은 최근 품귀 현상이 이어지고 있는 아세트아미노펜(해열제)처럼 흔히 쓰는 약이지만 20여 가지 대체품이 있는 아세트아미노펜과 달리, 대체품이 3개 밖에 되지 않아 공급 어려움이 더 커졌다는게 약사회 설명이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해외 의존도가 높은 원료 약의 자급도 문제도 다시 거론되고 있다. 이번처럼 글로벌 공급망에 차질이 빚어질 경우 직격탄을 맞을 수 있어서다. 민필기 이사는 “원료 의약품은 중국, 일본, 인도 의존도가 높다”라며 “약값이 낮으면 그만큼 원가를 절감해야 하는 만큼 해외 원료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마그밀을 공급하는 삼남제약 홈페이지에 올라온 마그밀 관련 문의 글. 사진 홈페이지 캡처.

마그밀을 공급하는 삼남제약 홈페이지에 올라온 마그밀 관련 문의 글. 사진 홈페이지 캡처.

식약처에 따르면 최근 5년(2017~2021년) 평균 원료 의약품 자급률은 28% 수준에 머물러 있다. 이런 고질적 문제는 지난해 국정감사 때도 도마에 올랐다. 당시 “항생제, 해열제, 항염증제에 쓰이는 원료 의약품 수급에 문제가 생기면 국민보건에 큰 위협”이라며 수입선을 다변화하고 자립도를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식약처 관계자는 다만 “국내 제약사가 원료를 만든다고 해서 공급 이슈가 없다고 보장할 수 없다”라며 “국가필수의약품 위주로 국산화를 지원하고 향후 이를 확대하는 걸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