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최재형 선생 묘 복원 길 열려…유해 없는 독립유공자도 국립묘지 안장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독립운동가 최재형 선생(1860~1920)처럼 유해를 찾지 못한 순국선열의 위패를 배우자의 유골과 함께 묘에 안장할 수 있도록 국립묘지법 개정이 된다.

독립운동가 최재형 선생(1860~1920). 제공 최재형기념사업회

독립운동가 최재형 선생(1860~1920). 제공 최재형기념사업회

17일 국가보훈처에 따르면 이날 정부는 국무회의에서 유골이나 시신이 없는 순국선열의 위패를 배우자의 유골과 함께 국립묘지에 합장할 수 있는 근거를 담은 '국립묘지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의결했다.

현재는 유골이나 시신이 없는 국립묘지 안장 대상자는 이름을 석판에 기록해 보관하거나(위패 봉안), 영정·위패를 배우자 유골과 함께 봉안시설에만 안치할 수 있다.

그러나 일제의 침탈에 항거하다가 순국한 애국지사 중엔 해외에서 눈을 감거나 일제의 방해·은폐로 유골·시신을 찾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유골·시신을 찾지 못한 독립유공자도 묘에 안장할 수 있게 유족의 선택권을 확대해야 한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국회에서 개정안이 통과하면 최재형 선생 같은 유골·시신이 찾지 못한 독립유공자도 배우자의 유골과 함께 국립묘지에 조성한 묘에 안장될 수 있다.

최재형 선생은 연해주로 건너가 러시아 군대의 군납 상인으로 쌓은 재산을 조국 독립과 시베리아 이주 동포를 위해 쓴 독립운동가다. 그는 의병단체 동의회를 조직했고, 안중근 의사의 이토 히로부미 처단을 지원했으며 한인 마을에 민족학교를 설립했다. 1919년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초대 재무총장(장관)으로 선출됐고 같은 해 11월 블라디보스토크에 독립단을 조직해 무력 항쟁을 주도했다.

최 선생을 가장 위험한 항일 지도자로 분류해 제거하려고 혈안이던 일제는 1920년 4월 연해주를 침략해 최 선생을 총살하고 안중근 의사의 경우처럼 유해를 은닉했다.

최재형 선생의 손자 최 발렌틴이 2009년 재차 서울현충원 묘역을 참배하러 갔으나 가묘가 사라져 망연자실한 모습. 지금도 이 자리는 빈터로 남아 있다. 사진 최재형기념사업회

최재형 선생의 손자 최 발렌틴이 2009년 재차 서울현충원 묘역을 참배하러 갔으나 가묘가 사라져 망연자실한 모습. 지금도 이 자리는 빈터로 남아 있다. 사진 최재형기념사업회

1962년 정부는 선생의 공훈을 기려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했고 1970년 서울현충원 애국지사 묘역에 선생의 묘를 조성했다.

그러나 한국과 구 소련의 수교 이후 러시아에 생존한 최 선생의 후손의 문제제기로 안장된 시신이 최 선생이 아닌 다른 사람이고 후손을 자처한 '가짜 유족'이 보상금을 받은 사실이 드러났다.

이런 우여곡절 때문에 최 선생의 묘지 자리는 지금도 현충원에 빈터로 남아 있다.

관련기사

박민식 보훈처장은 "앞으로도 조국의 자주독립을 위해 몸 바친 순국선열을 한 분도 소홀함 없이 예우하는 일류 보훈을 실현하고, 이를 통해 우리 국민이 순국선열의 뜻과 정신을 언제나 기억하고 계승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최재형기념사업회는 지난해 9월 서울현충원을 찾아 최재형 선생의 묘를 복원해달라는 서명운동을 했다. 사진 최재형기념사업회

최재형기념사업회는 지난해 9월 서울현충원을 찾아 최재형 선생의 묘를 복원해달라는 서명운동을 했다. 사진 최재형기념사업회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