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김병필의 인공지능개척시대

챗GPT의 충격, 새해 AI에 거는 미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7면

김병필 KAIST 기술경영학부 교수

김병필 KAIST 기술경영학부 교수

일전에 한 소송 전문 변호사에게 일하면서 가장 어려운 점이 무어냐고 물은 적이 있었다. 뜻밖의 답이 돌아왔다. 그는 의뢰인이 적절한 기대 수준을 갖게 하는 것이 가장 어렵다고 했다. 의뢰인은 다들 자기가 꼭 승소할 것으로 생각한다. 그런데 변호사가 승소 가능성이 작다고 하면 무능한 것처럼 보이기에 십상이다. 사건 수임이 어렵게 된다. 그렇다고 해서 소송에서 패소할 수도 있는데 무조건 이길 수 있다고 장담할 수도 없다. 그 변호사의 답변을 듣고서 미래를 예상하고 합리적으로 기대하는 일이 얼마나 어려운지 새삼 실감하였다.

세상 많은 일이 그렇다. 올해는 시험에 합격하겠지, 승진하겠지, 투자 실적이 좋겠지 등등 우리가 했던 많은 기대가 쉬이 좌절되곤 한다. 하지만 비관적 전망에 빠지면 좋은 기회를 놓칠 수 있다. 미래를 위해 노력할 유인도 잃게 된다. 그러니 일단 높은 기대치를 갖고 힘닿는 한 노력해 보는 편이 바람직한 경우가 많다. 하지만 노력이 헛되지 않으려면 그 기대치가 합리적이어야 한다.

인공지능에 글쓰기 가르치니
다양한 문제해결 능력 생겨나
폭넓은 잠재력 갖추고 있지만
과도한 기대는 역효과 위험성

일러스트= 김지윤 기자 kim.jeeyoon@joongang.co.kr

일러스트= 김지윤 기자 kim.jeeyoon@joongang.co.kr

최근 놀라운 성능의 인공지능이 거듭 발표되면서 사회적으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빠르게 변화하는 기술 환경 속에서 그 발전을 예측하고 합리적 기대 수준을 갖는 일은 적잖게 어려운 문제다. 30여 년 전 인터넷이 등장하여 세상을 바꾼 것만큼이나 인공지능이 사회 전반에 걸쳐 큰 변화를 초래하리라 전망하는 목소리가 작지 않다. 이러한 전망의 중심에는 글쓰기 인공지능이 자리 잡고 있다. 지난 12월 발표된 챗GPT(Chat GPT) 기술 같은 것이 대표적이다.

챗GPT가 세상을 놀라게 한 이유는 그 성능이 기대보다 훨씬 더 뛰어났기 때문이다. 단순히 작문 기능만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인간의 사고 능력을 모방할 수 있는 것처럼 보인다. 예컨대 수학 문제를 풀라고 하면 풀이 과정까지 상세히 보여준다. 컴퓨터 프로그램을 만들라고 지시하면 소스 코드를 직접 짜낸다.

이러한 글쓰기 인공지능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곰곰이 들여다보면, 그 인공지능이 다양한 작업을 수행해 내는 것에 사뭇 놀라게 된다. 글쓰기 인공지능의 구조에 대단한 비밀이 숨겨져 있는 것이 아니다. 그저 방대한 양의 문장을 학습해서 사람이 쓴 것과 비슷한 문장을 생성해 낼 뿐이다. 그런데도 글쓰기 인공지능은 여러 문제를 해결할 능력을 갖추게 되었다. 어쩌면 글을 쓰는 능력을 가르치는 일이 인간처럼 생각하는 인공지능을 만드는 열쇠인지도 모른다.

지나친 기대에 우려를 제기하는 의견도 만만치 않다. 이들은 현재의 글쓰기 인공지능이 아무리 똑똑해 보여도 근본적으로는 앵무새와 다를 바 없다고 지적한다. 틀린 말이 아니다. 글쓰기 인공지능은 학습 데이터의 통계 패턴을 익혀 가장 그럴듯한 말을 지어낼 뿐이니, 참과 거짓을 구분하지 못한다. 거짓 내용을 자연스럽게 생성해서 사람을 속일 위험이 적지 않다. 이 위험을 어떻게 해소할 것인지는 아직 뚜렷한 답이 없다. 그러니 이런 인공지능이 사회 각 분야에서 활발히 사용되기까지는 오랜 시일이 걸릴 수도 있다.

인공지능 기술들이 앞으로 얼마나, 어디까지 발전할 수 있을 것인지는 쉽사리 예측하기 어렵다. 어떤 이들은 머지않아 인간을 뛰어넘는 인공지능이 등장할 것이라 주장한다. 다른 이들은 현재의 기술 수준은 인간 지능과 도저히 비교할 바가 못 된다고도 한다. 여러 엇갈린 주장 사이에서 갈피를 잡기 어렵다.

그럴수록 인공지능 전문가들은 미래 전망을 지나치게 과장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인공지능의 발전사에는 ‘인공지능 겨울’이라 불리는 시기가 있었다. 사람들이 크게 기대했다가 그 결과에 실망한 나머지 투자나 관심도가 크게 떨어진 때를 일컫는다. 아직 인공지능 겨울을 걱정할 단계는 아니지만, 이런 시기가 다시 닥치지 않도록 유념해야 한다. 반대로 인공지능의 잠재력을 과소평가하여 투자나 연구 노력이 부족해지지 않도록 보장할 필요도 있다. 그러니 인공지능과 관련된 문제에서는 냉정하고 객관적인 기대 수준을 갖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2023년 새해가 밝았다. 과연 100년 후 후손은 올해를 어떻게 평가할까 상상해 본다. 인공지능 기술 발전과 확산의 원년으로 평가될 수도 있고, 우리가 가진 기대나 우려가 찻잔 속 폭풍에 그쳤다고 평가될 수도 있겠다. 인공지능의 미래에 어떤 기대를 하는 것이 합리적인 태도일지 고민하며 한 해를 연다.

김병필 KAIST 기술경영학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