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포스코 “일제강제동원지원재단 기부금 출연 요청 오면 검토할 계획”

중앙일보

입력

서울 종로구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 모습. 연합뉴스

서울 종로구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 모습. 연합뉴스

포스코는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에 대한 기부금 출연과 관련해 “정부와 재단에서 공식적인 요청이 들어오면 절차를 거쳐 검토할 계획”이라고 13일 밝혔다.

그러면서 기부금을 출연해달라는 정부·재단의 요청은 아직 없었다고 덧붙였다.

한국 정부는 전날 토론회에서 한국 대법원의 배상 확정판결을 받은 징용 피해자들이 일본 피고 기업 대신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으로부터 판결금을 변제받는 것이 가능하다며 ‘제3자 변제’ 해법을 사실상 공식화했다. 이에따라 어떤 기업이 기부금 조성에 참여할지 관심이 쏠리는 상황이다.

우선 거론되는 곳이 포스코다.

한국 정부는 1965년 한일청구권협정을 체결하면서 대일 청구권을 포기하는 대신 5억 달러의 경제협력자금을 받았다.

이 가운데 일부가 기업 지원 자금으로 쓰였는데, 대표적인 지원 대상이 당시 포항종합제철이었기 때문이다.

포스코의 전신인 포항종합제철에는 전체 청구권 자금의 24%에 해당하는 1억1948만 달러가 투입됐다.

포스코는 2012년 재단에 100억원을 출연하겠다고 약속했고, 2016년과 2017년에 각각 30억원씩 현재까지 총 60억원을 출연한 상태다.

이에 대해 포스코그룹 관계자는 “당시 출연 약속은 강제징용과는 관계없는 인도적 차원”이라며 “나머지 40억원 출연에 대한 부분도 공식 요청이 들어오면 절차를 진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포스코 외에도 한국도로공사, 한국철도공사, 외환은행, 한국전력공사, KT, KT&G, 한국수자원공사 등 10여곳이 청구권자금 수혜 기업에 해당한다.

외환은행의 경우 원자재 도입 등을 위해 청구권 자금에서 가장 많은 1억3200만 달러가 투입됐다.

외환은행 관계자는 “당시에는 외환은행이 국책은행이었으나 지금은 상황이 다르다”며 “기부금 조성에 관한 어떤 요청도 없었고, 관련 내부 검토도 진행된 적 없다”고 전했다.

한국 산업화의 대동맥 역할을 한 경부고속도로 건설 사업도 일본의 청구권 자금으로 가능했다.

한국도로공사는 “정부의 배상 방식이 확정되면 내부 검토에 착수하겠다”고 밝혔다.

KT&G도 구체적인 배상 방식이 확정되지 않은 만큼 상황을 신중히 지켜보고 있다는 입장이다.

KT&G는 전신인 전매청 시절 청구권 자금을 일부 지원받아 사업자금으로 활용했지만, 당시 자금이 어디에 사용됐는지에 관한 자료는 남아있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 기사 어때요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