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軍, 정찰위성 개발 전 '위성 임차' 검토…"전력 공백기 메운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군 당국이 해외 민간업체로부터 초소형 군집 위성을 빌리는 방안을 계획하고 있다. 군이 독자 정찰위성을 준비하는 상황에서 이 같은 임차 계획으로 독자 전력화 이전까지의 공백기를 메울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저궤도에서 지구를 돌며 관측을 하는 SAR 탑재 초소형 위성. 한화시스템

저궤도에서 지구를 돌며 관측을 하는 SAR 탑재 초소형 위성. 한화시스템

군 당국에 따르면 군은 유럽의 한 초소형 합성개구레이더(SAR) 군집 위성 전문 업체로부터 위성을 빌려오기 위한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아직 실제 협상까지 나아가진 않았지만 해당 업체의 위성 영상 처리 능력에 대한 긍정적 내부 평가가 나왔다고 한다. 해당 업체의 위성은 현재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우크라이나 측이 사용하고 있는 기종이다.

해당 계획은 독자 정찰위성을 갖추기 전 전력 공백을 메우기 위한 군의 차선책으로 풀이된다. 군은 사업비 1조 3050억원을 들여 영상레이더(SAR), 전자광학(EO), 적외선(IR) 위성 등 중·대형급 위성 5기를 확보하는 이른바 '425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올해까지 도입이 목표였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 등으로 속도를 내지 못해 내년으로 도입 시점이 밀렸다.

2020년 8월 충남 태안군 국방과학연구소(ADD) 안흥시험장에서 열린 국방과학 합동시연에 초소형 SAR 위성이 전시돼 있다.   연합뉴스

2020년 8월 충남 태안군 국방과학연구소(ADD) 안흥시험장에서 열린 국방과학 합동시연에 초소형 SAR 위성이 전시돼 있다. 연합뉴스

군의 정찰 능력은 정부가 강조하는 '3축 체계' 중 유사시 북한을 선제 타격한다는 개념의 ‘킬체인’(Kill Chain)의 핵심으로 꼽힌다. 현재 군은 자체 보유 정찰위성이 없어서 대북 위성 정보의 상당 부분을 미국에 의존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해외 업체의 초소형 SAR 위성이 자체 정찰위성의 공백기를 메우는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의미다.

초소형 SAR 위성은 가시광선에 의존하지 않아 기상 등에 간섭을 덜 받는다. 또 지구를 도는 주기도 중·대형 위성보다 짧아 같은 지점을 들여다보는 시간 간격이 상대적으로 줄어든다. 이 때문에 군 당국 역시 올해 내 중·대형 위성 외에 초소형 위성을 자체 능력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군 관계자는 “초소형 SAR 위성이 군 자체적으로 확보되면 북한의 이동식 미사일 발사대(TEL) 움직임과 연료 주입 등 도발 정황을 더 정확하고 기민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