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박수진 소장 "이제는 포괄안보 시대, 시장·정보 선점이 핵심" [新애치슨 시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1950년 1월 미국은 소련과 중국의 확장을 막기 위한 ‘애치슨 라인’을 발표했다. 그리고 5개월 뒤 애치슨 라인 밖에 위치하게 된 한반도에선 전쟁이 발발했다. 73년이 지난 2023년 한국은 다시 미ㆍ중의 공급망 전쟁으로 그려질 ‘신(新)애치슨 라인’의 최전선에 서 있다.
중앙일보는 서울대 아시아연구소(소장 박수진 교수)와 함께 급변하는 국제정세 속 한국 외교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기획 시리즈를 마련했다. ‘아르스프락시아’는 아시아연구소의 의뢰로 2020년 1월~2022년 9월 30일까지 한ㆍ미ㆍ일ㆍ중 4개국 824개 언론사의 기사 550만여건을 빅데이터 분석했고, ‘한국리서치’는 지난달 6~9일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심층 웹설문 조사를 진행했다.(95% 신뢰수준ㆍ표집오차 ±3.1%ㆍ비례할당 후 무작위 추출)

박수진(사진) 서울대 아시아연구소장은 “앞으로는 시장과 정보의 선점 경쟁을 통해 누가 먼저 새로운 국제질서에 맞는 사회시스템을 구축하느냐가 안보의 핵심요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미ㆍ중 경쟁으로 새롭게 정립된 글로벌 질서에서 급속한 경제발전과 정보공유 경험을 축적한 아시아 국가의 중요성이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박수진 서울대 아시아연구소장.

박수진 서울대 아시아연구소장.

박 소장은 지난 5일 중앙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새로운 국제질서 체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각 지역과 국가에 대한 실증적이고 경험적 자료를 바탕으로 사전예방적 판단과 정책을 결정하는 일”이라며 “특히 젊은 세대가 아시아 주변국을 서로 이해하고 배울 수 있는 교육 및 연구, 문화 프로그램의 질을 높이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이번 조사를 통해 ‘포괄안보’ 전략의 필요성이 확인됐다.
“역사적으로 전쟁은 상대의 자원을 뺏기 위한 경제전의 성격이 강했다. 즉 안보의 본래적 의미는 경제인데, 20세기 냉전을 거치면서 군사적 안보가 부각됐던 것이 오히려 착시에 가깝다. 냉전 속에서 경제발전을 이룬 한국은 전통적 군사안보에서는 우위를 점한 측면이 있지만, 시장 선점과 정보의 빠른 획득을 위한 지식ㆍ기술ㆍ사회시스템 구축 측면에선 아직 가야 할 길이 남아 있다.”
새로운 글로벌 지형에서 한국의 강점은 뭐라고 보는가.
“한국은 급속한 경제ㆍ정치적 발전을 직접 경험했다. 단기간의 압축성장을 통해 과거와 미래가 공존하는 사회를 만드는 과정에서 성공과 실패를 했고, 또 갈등을 겪고 이를 해결하는 경험을 체화했다. 이 자체가 강점이다. 현재의 한류(韓流)도 이러한 경험이 응축적으로 발현된 한 사례로 봐야 한다. 우리의 경험을 세계가 공유한다는 점에서 특히 문화산업은 외교에서도 큰 자산이 될 수 있다.”
아시아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지만, 정작 중ㆍ일 등에 대한 호감도가 낮다.
“오랜 기간 국경을 접하고 살아온 국가 사이엔 필연적으로 아픈 역사가 있을 수밖에 없다. 유럽연합(EU) 국가들도 지금까지도 역사ㆍ영토ㆍ민족문제 등 다양한 갈등을 겪고 있다. 극단적 갈등과 혐오는 막아야 한다. 다만 이웃 국가간 견제 심리가 존재하는 것은 선의의 경쟁을 촉진한다는 점에서 오히려 긍정적 측면도 있다. 단 이를 위해 특히 젊은 세대가 서로를 이해할 수 있는 질 높은 지원이 필요하다.”
박수진 서울대 아시아연구소장.

박수진 서울대 아시아연구소장.

아시아연구소의 역점 사업은.
“한국은 아시아에 대한 축적된 연구 성과나 전문가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이는 여타 아시아 국가들도 마찬가지다. 그래서 아시아 지역 전문가들과 지식을 효과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구축해 지식을 공유하고 서로를 배울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하는 데 최선을 다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국제평화공유대학, 해외지역교육원 등 새로운 형태의 교육 및 정보공유플랫폼을 추진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