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노트북을 열며

인구 4만 평창, ‘주말 인구’는 두 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8면

손해용 기자 중앙일보 경제부장
손해용 경제부장

손해용 경제부장

강원도 평창은 인구가 4만980명에 불과하다. 하지만 주말이면 레저·휴양시설에 사람이 몰린다. 통계청 통신모바일 빅데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1월 주말에는 평창 인구보다 많은 4만6533명이 유입됐다. 2021년 12월~지난해 11월 1년간 평균적으로는 2만5000명 이상이 주말에 평창을 찾았다. 코로나19의 후유증이 채 가시지 않은 때였는데도 이렇다. 이 데이터는 휴대전화를 가진 사람을 기준으로 내기 때문에 아이를 포함하면 더 많은 사람이 유입됐을 것으로 추산된다.

인구학자인 서울대 보건대학원 조영태 교수는 “강원도 양양만 해도 인구는 2만8000명에 불과하지만, 주말이면 레저 인구로 에너지가 넘쳐난다. 행정인구를 중시한 정부는 양양을 인구감소위험지역으로 지정했다. 하지만 ‘생활인구’로 볼 때 양양을 소멸위기라고 볼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인구감소, 지방소멸 대응 차원에서 새로운 인구 개념인 ‘생활인구’가 주목받고 있다. 사업·관광·통근·통학 등의 목적으로 지역을 방문해 해당 지역에서 활동·체류하는 사람을 뜻한다. 이젠 주민등록인구가 아닌 생활인구를 늘리는 데 초점을 맞춰야 인구정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원조는 2017년 일본 야마나시현이 도입한 ‘링키지 인구’다. 지역에 경제적 공헌이 크고, 야마나시현에 애착이 있는 사람을 늘리는 데 주력했다. 이들이 머물며 생산·소비 활동을 하면 경제를 활성화할 수 있다고 판단해서다. 2018년 일본 정부도 비슷한 ‘관계인구’라는 개념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한국도 주요 지자체를 중심으로 움직이고 있다. 휴가지에서 일상적인 업무를 수행하면서 동시에 휴양을 즐기고 지역에 장기 체류하는 ‘워케이션’, 도시 거주자가 정기적으로 다른 지역에 체류하며 추가 생활거점을 갖는 ‘두 지역 살아보기’가 대표적이다. ‘농촌 유학 프로그램’ ‘은퇴자 공동체 마을’ ‘청년 복합공간 조성’ 등도 있다.

정부도 올해부터 생활인구 개념을 제도화해 인구정책 패러다임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직접 생활인구를 집계해 지표로 활용하고, 빈집·유휴시설을 활용해 생활인구를 유치하는 방안도 내놓기로 했다.

전문가들은 정교한 계획을 짜야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조언한다. 예컨대 생활인구가 늘면 지방공공재 사용, 행정 서비스 제공 등이 계속 발생하기 때문에 지방 교부세를 늘리는 식으로 행정적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 생활인구에는 외국인도 포함되는데, 이들의 활동과 정착을 돕는 정책도 필요하다. 또 우수 사례에 대해서는 재정 인센티브와 포상을 제공하는 식으로 성공 모델을 발굴·확산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