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알뜰폰 공세에 흔들리는 ‘SKT 아성’…점유율 40% 깨지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4면

이동통신시장 1위 SK텔레콤의 공고했던 40%대 시장점유율이 조만간 깨질 조짐이다. 저렴한 요금제를 앞세운 알뜰폰 가입자가 지속해서 늘면서다. 통신 3사가 미래 먹거리를 찾는 ‘탈 통신’ 기조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난 6일 발표한 ‘무선통신 서비스 가입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기준 이동전화 가입현황(기타회선 제외) 회선 수 점유율은 SKT 40.2%(3049만명), KT 22.4%(1699만명), LG유플러스 20.7%(1569만명), 알뜰폰 16.7%(1263만명)를 기록했다. 전년 동월 대비 SKT(41.3%)와 KT(23.8%)의 점유율이 감소했고, LG유플러스는 동일한 수치를 유지했다. 눈에 띄는 건 알뜰폰(14.1%)의 급성장이다. 1년 새 2%포인트가량 늘었다. 이런 추세라면 오는 3월 발표 예정인 1월 기준 통계에선 SKT의 점유율이 40% 아래로 내려갈 가능성이 크다. SKT는 CDMA를 통해 본격적인 무선통신서비스가 시작된 1996년 이후 26년간 40% 이상 점유율을 유지했다.

알뜰폰은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MVNO·알뜰폰 사업자)가 기간망사업자(MNO·통신 3사)의 통신망을 도매가격으로 빌려 와 소비자에게 재판매하는 서비스다. 지난해 11월 기준 알뜰폰 가입 회선 수는 전년 대비 200만개가 늘었다. 통신 3사의 증가분을 합한 수치보다 30만개 이상 많다. 이 중 알뜰폰 휴대전화 회선 수만 120만개 이상 늘었다. 고물가로 통신비 부담을 느낀 소비자들이 알뜰폰으로 갈아탄 것으로 풀이된다. 알뜰폰 활성화를 지원하는 정부 정책 영향도 있다. 과기정통부는 지난달 22일 알뜰폰 사업자가 통신 3사에 내야 하는 망 사용료를 올해부터 20%가량 인하하기로 했다.

통신 3사는 통신 시장이 가입자를 더 늘리기 어려운 포화상태라, 가입자 확보 중심의 성장 전략에 한계가 왔다고 보는 분위기다. 통신에 AI나 클라우드, 플랫폼 등을 접목한 사업을 하거나 아예 통신 밖에서 새 먹거리를 찾는 전략으로 태세를 바꿨다. 올해 신년사에서도 SKT는 AI, KT는 데이터센터와 클라우드, LGU+는 플랫폼 등을 강조했다.

SKT 관계자는 “통신 3사가 알뜰폰으로 인해 점유율이 줄고 있는 건 사실”이라면서도 “통계 중 휴대전화 가입자만 놓고 보면 아직 SKT의 시장 점유율이 42%를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5G 커버리지, 속도 등에서도 1등 품질을 유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KT 관계자는 “무선 ARPU(가입자당 평균 매출)나 5G 가입자 비중에서는 KT가 시장 1위로, 성장성을 인정받고 있다”고 말했다.

3사의 시장 점유율에 균열이 생기며 요금 인하 경쟁으로도 이어질까. 이에 대해 통신업계 관계자는 “현재로썬 3사가 저가 요금제 가입자를 모으는 게 큰 의미가 없다”며 “멤버십, 콘텐트 경험, 서비스 등 차별화된 고객 편익에 초점을 맞추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알뜰폰 가입자 증가가 통신 3사에 불리하지 않다는 반응도 있다. 알뜰폰 사업자 52개 중 통신 3사의 자회사(5곳)가 차지하는 점유율이 2019년 37.1%에서 2021년 50.8%로 상승했기 때문이다. 알뜰폰 사업이 잘되는 게 통신 3사 수익성에도 나쁘지 않다는 의미다. 이 때문에 통신 3사 자회사의 알뜰폰 시장 점유율을 제한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