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수방사·육군·공군 다 따로 놀았다...알수록 한심한 '무인기 대응'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군 당국이 지난달 26일 북한 소형 무인기가 서울의 비행금지구역을 침범한 뒤에서야 뒤늦게 북한 무인기 대비 태세 강화 명령을 발령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서부전선을 맡은 육군 1군단이 국지방공레이더인 TPS-880K로 북한 소형 무인기의 항적을 포착한 것은 지난달 26일 오전 10시 19분부터다. 6분 후인 10시 25분 이를 북한 소형 무인기로 식별했다. 이는 합참에 보고됐고, 합참은 관련 부대에 대응 작전을 지시했다.

지난 5일 합참이 적 소형 무인기 침투 상황에 대응하는 합동 방공훈련을 열었다. 당시 가상 적 무인기로 동원된 육군 무인기. 연합

지난 5일 합참이 적 소형 무인기 침투 상황에 대응하는 합동 방공훈련을 열었다. 당시 가상 적 무인기로 동원된 육군 무인기. 연합

북한 소형 무인기는 20여 분을 더 날아 서울까지 들어왔다. 그런데 서울 방어를 책임 진 수도방위사령부(수방사)는 이 사실을 전혀 몰랐다. 합참이나 1군단이 북한 소형 무인기 침범 상황을 전파하지 않아서다.

수방사는 오전 10시 50분 이상한 항적을 포착했고, 30분 후 북한 소형 무인기로 판명했다. 오전 11시 27분 자체적으로 대응 작전을 시작한다고 합참에 보고하는 과정에서 이미 북한 소형 무인기에 대한 대응 작전이 진행 중이라는 걸 알게 됐다.

그리고 낮 12시 공군은 무인기 등 적 항공 전력에 대한 경계 태세를 강화하라는 명령인 ‘두루미’를 내렸다. 하지만 북한 소형 무인기는 대통령 경호용 P-73 북쪽 끝을 지나가는 등 서울 상공을 1시간 넘게 누비고 다녔다. P-73는 용산 대통령실과 국방부 청사를 중심으로 반지름 3.7㎞가량의 원 모양으로 그어놓은 구역이다.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합참은 지난달 28일 국회 국방위원회에 “전군 경계 태세를 2급으로 격상했다”고 밝혔지만, 북한 소형 무인기를 놓고 합참과 수방사, 1군단, 공군이 따로 논 것이었다. 권명국 전 방공포병사령관은 “육군과 공군이, 또 육군 부대 간 제각각의 방공 체계를 운영하다 보니 지난달 26일 허둥지둥하다 북한 소형 무인기를 놓친 것”이라고 말했다.

합참 전비태세검열실은 현재 지난달 26일 작전 상황 전반을 다시 들여다보면서 허점과 보완점을 파악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